nslookup은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의 정보를 조회 하는 명령어이다.
windows PC의 명령프롬프트나 리눅스의 Shell 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도메인의 정보를 쉽게 조회 할 수 있다.
1. 원하는 도메인의 ip 확인
- nslookup [도메인명] 을 입력하면 원하는 도메인의 ip정보가 출력된다.
2. 특정 네임서버를 통해서 ip정보 확인
- nslookup [도메인명] [네임서버명(또는ip)] 를 입력하면 입력한 네임서버를 통해서 원하는 도메인의 ip를 조회 하게된다.
3. 원하는 레코드 조회
- nslookup 명령 다음에 -type 옵션을 추가하여 원하는 레코드를 조회 할 수 있다.
4. nslookup 프롬프트 내에서의 질의
nslookup 명령어만 입력할 경우 nslookup 프롬프트로 이동하게 되며, nslookup 프롬프트 내에서 여러가지 질의가 가능하다.
- nslookup 프롬프트로 진입한 후, 도메인 조회
- 디폴트 네임서버 변경 후 질의
- ns / txt 레코드 조회
- 전체 정보 조회
5. 레코드 종류
- 네임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의 zone 파일에 아래의 레코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nslookup을 통해서 조회가 가능하다.
NS : Name Server, 도메인 네임서버를 지정
MX : Mail Exchanger,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지정
A : Address 도메인의 각각의 호스트에 대한 IP 정보를 지정
CNAME : Canonical Name, 기존 호스트의 별칭으로 부여할 이름을 지정
SOA : 도메인의 Start-Of-Authority 정보를 기록
HINFO : 호스트의 CPU 정보와 운영체제 정보
MINFO : 메일박스와 메일 리스트 정보
PTR : IP 주소에 대한 호스트명, 리버스 DNS를 구축할 경우에 사용
TXT : 임의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는 레코드로, 도메인 소유권확인과 SPF, DKIM 및 DMARC를 통한 이메일 악용 예방을 위해서 사용한다.
UINFO : 사용자 정보를 기록
ANY : 호스트에 관련된 모든 레코드 정보
3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nslookup만 잘 활용해도 DNS 서비스 형태를 알수 있어 많이 사용하고 있죠
Reply좀 더 자세한 내용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
댓글을 남기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서버 변경해서 검색할수도 있었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Reply댓글 남기기
댓글을 남기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nslookup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지요~~^^*ㅎㅎ 좋은글 감사합니다~
Reply댓글 남기기
댓글을 남기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