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qnap nas만 운영을 해보고 시놀리지 nas 운영은 처음이라서 질문 드립니다.
window Server 폴더 백업 시 qnap nas에서는 HBS3(Hybrid Backup Sync)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SMB 인증 후 폴더를 백업하였는데, 시놀로지는 Active Backup for Business 라는 프로그램이 있더라구요. qnap HBS와 다르게 백업 소스 서버에 agent를 설치해야된다고 하던데, 이 프로그램 말고 많이 사용하는 시놀로지 nas에서 백업 시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또 있을까요?
12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비티아이앤씨 입니다.
당사가 몇몇 기업에 원도우 서버을 active business for backup 패키지를 통하여
백업관리 지원해주고 있는데 백업 및 복구 테스크 결과 기존의 백업 솔류션과 가격은 저렴하면서 성능도 나쁘지 않아 실업무에 적용하여 운영지원하고 있습니다.
나스에서 지원하는 백업 패키지는 여러 있지만 원도우 및 유닉스 서버등의 데이타 또는 이미지 백업은 active business for backup 패키지 만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언제든 연락주시면 지원해드리겠습니다.
[email protected]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Qnap 을 구입하셨으면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 tool로 익숙해져 보세요
시놀로지나 Qnap 대동소이할것 같아요
그리고 별도로 백업 tool을 사용한다면 라이선스 문제도 있을것 같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덕분에 몇가지 참고 사항이 나오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시놀리지 프로그램 조금 사용해보시면
금방 익숙해지실겁니다.
사용 레퍼런스도 많아서 굳이 다른 tool 사용하는것보다 좋을겁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이번 기회에 NAS 장비도 바꾸고 하셨으니 해당 벤더의 백업 솔루션을
사용해 보시는 것도 추천 드려요.
물론 처음에는 조금 헷깔리고, 이전에 사용하던 방식과 차이가 있어서
불편한 점도 있으시겠지만,
그래도 제품에 맞게끔 최적의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배포 한 것이니
제일 좋지 않을까 하네요.
해 보고 나서 나중에 안되겠다 싶을때 변경을 해도 좋을 것 같아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간접적으로 나마 답변 내용이 많이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시놀로지도 하이퍼 백업을 주로 많이 이용합니다. 저희도 그렇게 해서 백업설정해서 사용을 하고 있어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drive client 프로그램 추천드립니다. 실시간 sync라 한번 설치후엔 한번씩 데이타 백업 여부만
확인 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qnap처럼 smb 이용 네트워크 폴더 열어놓고 백업하거나
window 용 rsync 이용 하셔도 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안녕하세요 (주)코레이즈입니다.
저희 고객사는 Synology NAS + Dropbox 조합으로 백업을 많이 진행하십니다.
Dropbox 가격은 무제한 저장소를 제공하니 생각보다 많이 저렴하게 사용가능합니다.
http://coraise.kr/hardware/synology/
보시고 연락주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이미지 백업을 받으시는게 아니라면 단순 파일 백업이라면 그냥 NAS 를 네트웍 드라이브 잡아서 file sync 나 동기화툴 사용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NAS 제조사 제공 솔루션을 사용하는게 편리한 점도 있긴 하지만...
제조사마다 다른 사용 방법, 다른 특성이라 제품을 바꿀때마다 백업 설정에 번거로운 점이 있다는 게 단점일 것 같네요.
호환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도 있겠고...
제조사에 관계없이 호환성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백업 방법은 Window, Linux OS에 기본 제공하는 툴들, OS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아카이빙 툴, 동기화 툴, 압축 툴 등이죠.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백업 받는 방법도 고려해 볼 필요도 있을 거라 보여지네요.
동일한 NAS 2대 이상을 운영하면서 두 장비간에 동기화를 시킨다거나 등의 특수한 백업일 경우에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백업 솔루션을 사용하는게 권장될 수 있지만 그외에는 일반 툴을 이용해서 백업 받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제가 알기론 몇가지가 있는데, 제일 많이 쓰는게 액티브 백업 for 비지니스고,
두번째로는 시놀로지 드라이브를 사용합니다.
보통 위 2개를 많이 사용하기에 시놀로지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예약, 전체 백업등 설정 가능하니
찾아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