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dIT | 묻고 답하기(AMP)

네트워크 망 구성 관련

안녕하세요,

현재 잠시 빌려 쓰고 있는 공유오피스의 네트워크 망 구성이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모든 네트워크 등 동작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나, 단순 궁금한 게 있어서요..(네트워크 망 구성 관련해 담당자에게 요청을 해봤는데 인수인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관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대략 장비 들어가 있는 렉 사진은 아래랑 같구요,

확인이 되는 거는 총 10대의 스위치(Cisco 2969)이 있구요, 각 스위치 장비에 빨간색 UTP(얕은 지식이지만, 각 스위치의 wan 포트에 물리는 것 같습니다.)를 뿌려주는 장비가 있습니다.(24P 짜리 장비)

그리고 라우터에는 각 장비가 어떻게 물려 있는지 확인을 할 수 없습니다.

각 무선 이용시 192.168.12, 192.168.30 등 게이트웨이가 각각 다 있구요,

다이렉트로 물려서 쓰는 경우 10.24.으로 IP가 나가고 있습니다.

혹시 위 상황과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여 대략적인 망 구성을 알 수 있을까요.

또 무선 랜으로 사용시(192.168.XXX.XXX)이지만 공용 프린터인 (10.24.XXX.XXX)와 통신이 되는 이유 및 입출입을 제어하는 기기(10.24.XXX.XXX)의 프로그램과는 통신이 안되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이 쪽으로 워낙 문외한이라 마땅히 도움 받을 곳 없어서 글 남깁니다.





Tags : 태그가 없습니다.

4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wansoo
  0 추천 | 일 년 이상 전

먼저.. 언급한 내용중에 오류를 지적하면... 스위치는 WAN 포트가 따로 있지 않습니다. 스위치는 LAN 포트와 다른 스위치와 연결을 위한 UpLink 포트가 있고요. 광 모듈을 장착해서 광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게 해 주는 포트가 있지만, 광포트 또한 LAN 포트에 해당된다고 보면 되겠고요.


WAN/LAN으로 나눠져 있는 네트워크 장비는 인터넷 공유기, 방화벽, 라우터 등의 외부 시스템과 내부 시스템을 연결 시켜 주는 용도의 장비라 할 수 있고요.



사진을 3장 올리셨는데...

랙이 2개 인 것이죠?

제일 위에 있는 사진이 오른쪽 랙으로 보이고, 2번째 사진이 양쪽 랙 모두를 오른쪽 부분에서 찍은 사진인것 같고, 3번째 사진이 왼쪽 랙을 중심으로 해서 찍은 사진으로 보이고요.



각 무선 사용시, 192.168.12.x, 192.168.30.x 등의 IP가 잡힌다는 건...

각 무선 공유기가 DHCP 설정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IP를 뿌려준다고 할 수 있을 것 같고요.

이쪽 무선 공유기에 무선 접속하면 192.168.12.x의 IP가 할당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저쪽 무선 공유기에 무선 접속하면 192.168.30.x IP가 할당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잇는 상태가 되고...


다이렉트로 물려서 쓰는 경우에는 10.24.x.x IP가 나가고 있다는 건...

아마도 유선 네트워크 ( 각 스위치에 물려 사용하는 ) IP가 10.24.x.x를 사용하는 걸로 추정되고요.


무선 공유기들은 WAN과 LAN으로 나눠서 양쪽 네트워크를 연결시켜주는 장비에 해당되는데... LAN에 할당되는 IP들이 192.168.X.X를 각 무선 공유기별로 개별 할당되는 형태가 되겠고...

무선 공유기들의 WAN 포트가 유선 네트워크인 스위치에 연결되어서 10.24.x.x IP가 할당되어 있는 형태가 될걸로 보여지고요.


무선 랜 사용시에 공용 프린터인 10.24.x.x와 통신이 가능한 이유는 무선 공유기들로 부터 할당받은 192.168.x.x IP들은 무선 공유기의 WAN인 상위 네트워크 10.24.x.x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됩니다. 무선 공유기가 WAN과 LAN의 양쪽 네트워크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면서 LAN에 할당된 네트워크를 WAN 방향으로 통신이 될 수 있게 포워딩 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 WAN에서는 LAN으로 접속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방화벽 역할을 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LAN에서는 WAN으로 통신이 가능하지만, WAN에서 LAN으로는 통신이 되지 않는게 기본적인 설정입니다.

그래서 무선 공유기의 192.168.x.x에서 10.24.x.x에 있는 프린터와 통신을 할 수가 있게 됩니다.


공용 프린터와는 통신이 되는데, 입출입을 제어하는 기기 (10.24.x.x)의 프로그램과는 통신이 안되는 이유는... 입출입을 제어하는 기기의 방화벽 설정에 의해서 안될 가능성도 있겠는데...

질문 내용으로 보아서는 10.24.x.x 입출입 제어 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무선 공유기 하단에 있는 192.168.x.x로 접근 시도를 하기 때문에 연결이 안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더 강하게 느껴지네요.

192.168.x.x 쪽에서 입출입 제어하는 기기의 10.24.x.x로 ping을 보냈을 때 10.24.x.x 기기에 방화벽이나 echo reply 차단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ping 응답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반대로 10.24.x.x 입출입 기기에서 192.168.x.x로 ping을 했을때 응답을 받지 못하는게 당연한 현상이 되겠고요.


케이블에 테그로 표시가 되어 있는걸 참조해서 상대편이 어디에 있는 장치인지를 참조해 볼 수 있겠고요. 같은 랙 안에 있는 기기들간의 케이블 연결 확인은 케이블을 직접 당겨 보거나 케이블을 잠시 포트에서 빼 내어 상대편에서 네트워크 Active LED의 점등 여부로 확인해 볼 수 있겠고요.


랙을 벗어난 위치에 있는 기기와의 연결은 네트워크 테스터기를 활용해서 연결 관계를 확인해 볼 수도 있고, ping 등의 점검 툴과 케이블을 직접 포트와 분리 시켜 보면서 ping의 연결/끊김으로 연결도를 확인해 볼 수 있겠고요. 스위치 장비들에 등록된 포트별 MAC 주소 테이블을 참조해서 연결 관계를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일신우일신J | 일 년 이상 전

안녕하세요, 하나먼 더 여쭤 보고 싶은게,,, 대략적으로 CORE-SW 00이라고 라벨링 된 스위치에서 빨간색 utp가 WIFI SW-01~10으로 라벨링 되어 있는 무선 공유기 WAN포트에 꽂히고 있고 SW-01, SW-02 무선 공유기 사이에 48P 짜리 스위치(?) 장비가 있습니다. 이는 SW-03, SW-04 공유기 사이에도 48P 짜리 스위치 장비가 있고 이후 무선 공유기 사이에도 동일하게 있습니다. 궁금한게 각 무선 공유기에도 오피스 넘버 등 (예를 들면 OFFICE # 101-01-01,101-01-02)가 라벨링 되어 있고(LAN 포트에 다 물려 있고 초록불도 깜빡입니다.), 아래의 스위치에서도 동일한 표기를 가진 UTP(회색)가 물려 있습니다. 제 추측이 맞다면 이 UTP들이 바닥이든 천장이든 날아서 각 오피스 랜포트(다이렉트로 물려서 PC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와 연결이 되도록 세팅이 되어 있다고 생각이 들고, sw-00, sw-01 사이에 샌드위치 처럼 있는 스위치에서 한가닥 씩 나와서 sw-00, sw01 lan 포트에 물려 있다고 판단이 되는데, 제 생각이 맞을까요.... CORE-SW00 역시 모뎀과 연결이 되는 선 등이 따로 있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아직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도 완벽하지 않은 채 두서 없는 질문 드려 죄송합니다.

d

일신우일신J | 일 년 이상 전

sw-00, sw-01 사이에 샌드위치 처럼 있는 스위치에서 한가닥 씩 나와서 sw-00, sw01 lan 포트에 물려 있다고 판단이 되는데 -> 이부분  "sw-01, sw-02 사이에 샌드위치 처럼 있는 스위치에서 한가닥 씩 나와서 sw-01, sw02 lan 포트에 물려 있다고 판단이 되는데"으로 수정합니다.

wansoo | 일 년 이상 전

사진으로 봐서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48P 짜리 스위치 장비라고 말씀하신게... 스위치가 아니라 "패치 판널"을 인것 같습니다.

패치 판널과 스위치 장비를 쉽고 간단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패치 판널에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스위치는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Active 상태일 경우에 해당 포트에 대한 LED에 등이 깜박이지만 패치 판널은 전원 공급 자체가 되지 않는 부속품이고, LED 조차 없기 때문에 불이 깜박일 수 조차 없는 구조가 되겠고요.

패치 판널은 장비가 아니라 네트워크 케이블을 유지 관리의 편의성 목적으로 Outlet들을 배열해 둔 것이이라고 보면 됩니다.


패치 판널의 각 포트 마다 건물 내의 각 위치에 있는 Outlet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고요.

패치판널에서 원하는 위치의 포트를 찾은 후 UTP 케이블을 이용해서 패치 판널의 해당 포트와 스위치 간에 연결 시키고, 해당 방의 outlet 포트와 네트워크에 연결 시키려는 기기와 UTP 케이블을 연결 시켜 주면 해당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고요.


스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SW라는 표시는 SWitch의 줄임말이 되겠고...

Core SW00이 모뎀과 연결이 되는 선 등이 따로 있냐에 대한 답은...

함께 통신하려는 SWitch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그리고, 함께 통신하려는 스위치들에 연결된 기기들이 인터넷이 되려면 함께 연결된 스위치 중에 한대가 인터넷이 들어오는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Simon.Park
  0 추천 | 일 년 이상 전

말씀하신 내용만으로 전체 네트워크를 파악 하는 것은 쉽지 않겠네요.

각 장비에서의 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파악 해야 하고,

다른분이 말씀하신데로 VLAN 구성, Gateway 어떻게 되어 있는지 등을 파악해야지

전체 구성을 알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wansoo
  0 추천 | 일 년 이상 전

다양한 IP 대역을 가지고 있다면 VLAN으로 나눠져 있을 가능성이 있을 것 같아 보이네요.

IP 대역과 겉으로 연결된것만 대충 보고 정확한 구성을 알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좀더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해 보고 적고 싶긴하지만... 급하게 나가야할 일이 있어 간단하게 대략적으로만 적어 봅니다.

일신우일신J | 일 년 이상 전

괜찮으시면, 한가할 때 대댓글 부탁드려도 될까요?

명동쓰레빠
  0 추천 | 일 년 이상 전

솔류션상담실을 이용하셔서 네트웍 관련 업체를 수배 해보시기바랍니다.

이전 유지보수 업체 정보를 찾는게 빠를수도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