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dIT | 묻고 답하기(AMP)

신축 건물 내부 회선 설계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1인 전산담당자입니다,,,

이번에 짓는 신 사옥은 지하2층, 지상 5층 건물이구요 현재 철거 작업중이고 6월 준공예정입니다


기존에는 생산동, 사무동이 따로 있어 VPN으로 연결해서 썻지만

신사옥에는 생산, 사무 합쳐서 건물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다만 제가 전문지식이 있는것도 아니고

컴퓨터 포맷하고 조립할줄 안다고 전산팀으로 옮기게 되었는데

이번 신사옥 통신 도면작업에 참가하게 되어서 머리가 아프네요


150명 정도 되는 인원이며 생산층은 층마다 자동화 기계가 있어

기계마다 데이터 전송용, 모니터링용, PC 총 세라인이 들어가거나

라인 하나에서 허브로 연결을 하려고 합니다

그 외에는 인터넷 전화용 라인을 망 분리를 해서 넣으려고 하구요


그래서 층마다 TPS실을 추가하거나 EPS실에 랙케이스를 넣어서

EPS실을 중심으로 라인이 뿌려져서 층 전체 통신을 관리 하는게 좋은가

현장에서 라인이 집중되는곳에 미니랙케이스를 두고 거기서 분배를 하는게 좋은가

또 층마다 연결은 CAT.6로 연결을 해야하나 광케이블로 연결을 해야하나

층간 연결을 담당하는것은 5층에 백본을 구성하려고 하고 있는데 이게 맞나 싶습니다


회사 자체가 내부 네트워크 통신이 잦고 업무 데이터가 중앙집중형이라

네트워크가 끊기면 업무도 전부 멈춰버리니 최대한 설계를 잘 하고 싶어서 조언을 구하고자 글 올려봅니다


Tags : 태그가 없습니다.

9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차니
  0 추천 | 3년 이상 전

각 층별 노드(PC,프린터, AP 등 네트워크 접속 장비) 수에 따락 성이 달라질 듯 합니다만 보통은


전산실에 백본(이중화)을 두고 층별(노드수에 따라 각츶에 가각 워크그룹스위치) 구성이나 격층 구성을 하시는게..


저흰 전산실-각 층별 워크그룹스위치 파트를 두고 광으로 연결했습니다.


층별 광 코어는 현재 사용량의 2배 정도로 배선하고(차후 확장때문에 는데 10여년이 지나니 역시 워크그룹 스위치 증가하네요.ㅠㅠ)


각 층별 업무별 특성에 따라 VLAN으로 나누고 업무별 층별 부서별 별도 보안이 필요한 경우 보안 스위치나 방화벽을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선AP는 수량이 많아(계속 증가 하네요) 무선콘트롤러를 구축하고 별도 VLAN으로 구성.

업무별 SSID도 구분했습니다. SSID별 VLAN도 나누었고요..


처음 하실때 업무별 붑서별 특성 감안 설계를 잘하셔야 합니다. 차후 확장도 염두헤 두시고요.. 한번 공사한 후 재공사하기 정말 힘듭니다 ㅠㅠ


각 층에서는 cat5e, 6으로 단말 접속합니다.



빨간신발
  0 추천 | 3년 이상 전

저도 한 5년전에 6층건물 했었습니다.

1층에 TPS에 메인 스위치를 두고..

1층 TPS에서는 1,2층 사무실을 커버하고

3층 TPS는 3,4층 커버

6층 TPS는 5,6층 및 옥상의 옥외용 AP까지 수용하도록 구성했습니다.

층간 연결은 광으로 구성하였는데.. 꼭 비싼 광으로 할 필요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CAT 6나 7으로 여분을 충분히 두고 하셔도 괜찮을 듯 합니다.

올리신 도면에서 5층 사무실같은 경우

TPS의 스위치에서 각 자리마다 1개씩 포설하는 방법도 있고...

사무실 중간에 무소음 스위치로 1~2개 놓고 각 자리마다 1개씩 포설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전자보다는 후자가 시설비가 조금 더 저렴하고 나중에 사무실을 재구성하면 조금더 유연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단점으로는 일반 사용자들이 모르고 건드는 경우가 있어서 손이 안닿는 곳에 잘 두셔야 합니다.

그리고 스위치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꼭 여분을 포함해서 포설하세요.

werther.chan
  0 추천 | 3년 이상 전

도면이 자세하게 보이지 않아서 서버실 위치를 어디쯤으로 생각을 하고 계시는지요?~

전 지하는 비추하고.. 지상을 추천합니다. 건물이 5층이니 1~3층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지하나 제일 꼭대기층일때는 피해를 당한적이 있어서^^;)

네트워크는 정말 업체를 함께 제안을 받고 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메인 서버실에서 각 층별(EPS내에 랙일 두거나.. 아니면 메인스위치만..)로는 광으로 연결하시고.. 그 층의 메인 스위치에서 각 구역별로 연결..

아 그리고 하실때 되도록이면, 무선AP도 같이 작업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추후에 작업시에 비용도 많이 들고.. 업무시 무선wifi를 사용하면 어디든 편하게 작업이 가능해서...

업체와 함께 작업하시면 스트레스 없이 잘 되실거니 넘 걱정하지마시고.. 함께 할때 많이 배워두셔요!~~

wansoo
  0 추천 | 3년 이상 전

층간은 가급적 광으로 연결하는게 좋을 것 같고요.

사용하는 라인외에 백업을 위한 여분 라인을 추가 가설하는 것도 꼭 챙겼으면 하고요.

네트워크실인 한 곳에서 모든 단말장치까지 케이블을 가설해서 연결하는 것 보다는 각 층에 스위치를 둬서 연결하는게 좋을 것 같고요.

스위치간의 연결은 케스케이드 형식( 한쪽 스위치에 연결하고 연결된 스위치를 또 다른 스위치에, 또 다시 다른 스위치를 중계 연결해서 연결을 확장해 가는 방식 ) 보다는 중앙 백본 스위치에서 부터 사내의 모든 스위치들까지 케이블을 직접 연결 시켜 사용하는 형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겠고요.

다시 말해, 스위치까지는 중앙 백업에서 모두 연결되게하고, 각 단말(PC 등)은 가까운 스위치에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게 비용면에서나 관리 측면에서나 여러 가지 장점이 있겠네요.

wansoo | 3년 이상 전

전산 장비실은 가급적 통풍 잘되고, 외부 온도에 영양을 적게 받는 곳, 침수 등의 위험이 적은 곳이 좋겠고요.

가장 윗층은 여름 태양열에 영향을 받기 쉬운 곳이다 보니 온도 유지를 위한 비용이 증가될 수 있어 가급적 피하는 게 좋을 것 같고요.

지하 같은 경우에 통풍 문제나 높은 습도, 침수 등의 위험은 없는지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고...

에너지 등의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어느 위치라도 큰 상관은 없긴 하겠지만...

차바라기
  0 추천 | 3년 이상 전

혼자서는 진행하기 힘듭니다~혹시 네트워크 유지 보수 업체가 있다면 같이 도움을 받아서 진행 하시는게 좋습니다.~

현이아빠 | 3년 이상 전

기존에 대신이라는 곳과 유지보수를 진행 했었는데 비용문제로 거래를 끊었다 하더라구요

여러 업체에 문의해보고 합리적이고 꼼꼼한곳으로 선정해서 진행 해봐야겠네요

Genghis Khan
  0 추천 | 3년 이상 전

동일하게 신규 건물의 설계 도면을 가지고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 했어요 사무동과 연구동으로 나뉘어서 진행 했고 천명정도 수용 인원 있었습니다

isp-방화벽-ips-백본에서 각 층별 TPS실로 연결 하였고

무선wifi또한 dhcp서버를 두고 각 충별과 연결하여 층별 로밍이 될수 있게 했습니다

서버실은 지하층에 두는게 맞을것 같구요

전산실를 구성하고 항온항습기 -네트워크장비-서버 등 배치 하면 되겠네요

혼자 하시기 버거우실겁니다 전체 전산 공사 업체나 유지 가능한 업체를 통해서 진행 하세요

업체 쪽지 드릴께요


현이아빠 | 3년 이상 전

와우 천명정도,,

연락처 감사해요 한번 견적 내봐야 겠습니다 ^^

INET
  0 추천 | 3년 이상 전 | (주)아이네트 | 01031618778

네트워크 구성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구조를 단순하게 만드는 겁니다. 장비를 거쳐 거쳐 

가면 구조도 복잡해지고 장애포인트만 늘어나게 됩니다. 통상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EPS실에 통신장비를 설치하는 경우도 많은데 만약 통신설비가 중요하다면 TPS실을 별도로 만드는 것을

추천합니다. 통신장비가 전기장치와 가까이 있으면 전자파 간섭이 있을 수 있고 전기선 관로에 통신선을

CD관 정도만 씌워서 나란히 지나가게 하면 이 또한 장기적으로 장애요인입니다.

지하 전산실 - (광케이블) - 층별 TPS L2스위치 or 원텐블럭 - (cat6) - 주요포인트 L2스위치 - (cat6) - PC 

위에서 TPS부터 주요포인트까지 설치 거리가 70m가 넘어가면 광케이블로 포설하는게 좋습니다.

요즘 추세는 일반적인 업무 네트웍은 무선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선 AP의 설치 포인트도 같이 고려

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현이아빠 | 3년 이상 전

네트워크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게 구조를 단순하게 만들어라 라는 말에 백번 공감합니다,,

지금 사옥이 허브에 허브를 타고 또 허브로 연결된 구조라서 장애포인트가 많아서 문제 해결에 하루종일 붙잡고있는 상태라 신사옥은 정말 계획을 잘 하고 싶어요

TPS실을 수직으로 내면 70M 이내로 나올거 같은데 계속 설득 해봐야 겠습니다

ktit
  0 추천 | 3년 이상 전

네트워크 업체를 끼고 도면 작성 하시는게 추후에 관리면에서도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저희 회사가 했던 방식을 말씀드릴게요

 1. 중앙 전살실에 백본을 두고 층간 연결은 100m가 넘는곳이 있기 때문에 광케이블로 연결했고,

     Vlan 구성하여 층간 대역을 나눠두었습니다.

 2. 각 층마다 EPS 실에 전산 랙을 두고 중앙 관리를 했습니다.




현이아빠 | 3년 이상 전

제가 생각하는거랑 거의 같네요!

저도 층별로 대역 나누려고 했는데 역시 EPS실에서 중앙 관리가 낫겠네요

코레이즈
  0 추천 | 3년 이상 전 | 코레이즈 | 02-1833-5805

안녕하세요 코레이즈입니다.

안정성이 있는 대규모 네트워크는 업체를 통해서 컨설팅을 받으시는게 향후 문제될 소지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장 상황에 따라 케이스바이케이스로 고려해야 될 사항이 많아 집니다.

EPS 중앙 or 미니렉 : 구성의 차이일 뿐이며, 공사비용의 차이가 납니다. EPS중앙으로 하면 관리의 용이성이 있습니다.
층간 Uplink : 가장 중요한건 트래픽이지만, UTP 케이블의 경우 80미터 이상이면 광케이블 공사를 추천드립니다.

결국 스위치의 Loop Guard 및 DHCP Snooping, BPDU Guard 등의 보안설정도 중요하기 때문에 충분히 고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코레이즈 드림


현이아빠 | 3년 이상 전

역시나 혼자서는 힘들고 컨설팅을 받아 봐야겠네요

여러업체 문의해보고 결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