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당시 기계실에 각 AP, DB 서버를 두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지속되는 잇슈로 해당 서버에 대해서 이중화를 할려고 하는데요,,
만약 이중화 솔루션을 사용 하여 당사 기계실에 둘 경우 결국 기계실화재나 정전등이 발생 하면
결국 똑같은 현상이기에, 당사 기계실이 아닌 다른곳 (IDC 센터 등)에 이중화를 할려고 계획 중입니다.
혹시나 해당 내용 관련 해서 다른분들은 어떻게 진행을 하셨나요??
AP 서버의 경우 혹시나 해당 서버가 문제 발생 시 다른 서버로 자동 밸런싱 되는 시스템이 있을까요??
현재 DNS 서버는 IDC 센터에 있고 AP 서버는 당사 기계실에 있습니다.
왠지 KT IDC 센터에서 제공 하는 솔루션이나 서비스가 있을것 같기도 하네요,,
AP, DB 서버 이중화 다들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지속되는 잇슈로 해당 서버에 대해서 이중화를 할려고 하는데요,,
만약 이중화 솔루션을 사용 하여 당사 기계실에 둘 경우 결국 기계실화재나 정전등이 발생 하면
결국 똑같은 현상이기에, 당사 기계실이 아닌 다른곳 (IDC 센터 등)에 이중화를 할려고 계획 중입니다.
혹시나 해당 내용 관련 해서 다른분들은 어떻게 진행을 하셨나요??
AP 서버의 경우 혹시나 해당 서버가 문제 발생 시 다른 서버로 자동 밸런싱 되는 시스템이 있을까요??
현재 DNS 서버는 IDC 센터에 있고 AP 서버는 당사 기계실에 있습니다.
왠지 KT IDC 센터에서 제공 하는 솔루션이나 서비스가 있을것 같기도 하네요,,
AP, DB 서버 이중화 다들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19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시스템 가용성을 높이는 방법론은 크게 3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 방법론은 백업 및 복구 입니다. 백업 및 복구는 다들 아시겠지만 원본 데이터를 다른 곳으로 복사 후 장애 발생시 복사본으로 원본을 회복시키는 방법입니다.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방법론입니다.
두번째는 HA 입니다. HA는 고가용성 솔루션 이라고도 하며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 또는 솔루션이며, 장애 발생후 수분내 서비스 재개를 목표로 운영용 서버 2대를 Active 및 Stand By 형태로 구성 및 데이터를 실시간 복제를 수행합니다. 그리고 Active 서버가 장애 시 장애 대기 서버(Stand by)로 서비스를 재개 하게 됩니다. 다만, 데이터 실시간 복제는 거리상의 제약이 있을수 있으므로 LAN (내부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 지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세번째는 재해 복구(DR) 입니다. 재해 복구는 장애발생시 다운된 시스템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서비스를 재개하는 방법론입니다.
세가지 모두 가용성을 높이는 기술이지만, 이중에서 가장 포괄적 대처 방법론은 재해 복구 입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시스템 즉, OS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모두를 회복시켜 서비스를 재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되므로, 일부의 서버뿐만 아니라 전체 IDC센터가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혹시 도움이 되실 수 있을것 같아 제가 올렸던, 게시물을 공유 합니다.
https://www.sharedit.co.kr/posts/3062/ 특정 제품에 대한 언급이 좀 많긴 합니다만, 전체적인 개념을 잡으실 때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1) 데이터 복제 방법
-> 서드파티 HA클러스터 SW를 사용할것인가? 스토리지 벤더가 제공하는 볼륨복제 방식을 선택할것인가?
-> 실시간 동기, 비동기식 동기, 스케쥴 동기 3가지 방식 있습니다. 각 방식에 따라 장/단점이 있습니다.
2) DB / 어플리케이션 이중화 가능 여부 확인
-> DB는 대체로 이중화가 가능 합니다. (서드파티 HA클러스터 제품 사용) / APP서버는 이중화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3) 네트워크
-> 센터 to 센터간 이중화 구성 시, 서버/스토리지/어플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관점에서도 잘 보셔야 합니다.
(센터간 네트워크 어떻게 연계하고, 클라이언트들은 Failover 후 어떻게 접속 시킬것인가?)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제가 알기로는
RAC는 분리된 외장 스토리지가 2대(각 디비별 마운트 active-active 방식)가 필요한데
비용이 만만치않죠.
오라클에서 active-passive 방식을 지원하면 외장스토리지 하나로 가능한데 이건 제가 잘 몰라서 ^^/
여튼 그럴수있는 상황이 안되면 이중화 솔루션을 많이 들 씁니다.
더블테이크나 ,MCCS나 , 로즈 등등...
가격은 천차만별이니 여러곳 알아보셔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DB를 오라클로 쓰신다면 RAC 사용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기계실이 문제가 생기면 DR(IDC 등 제 2의 장소)로 서비스 되게 하는 방식은 GSLB 방식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joinc.co.kr/w/man/12/GSLB
해당 사이트 참조 하셔서 GSLB 기능을 지원하는 장비를 쓰셔도 되고 해당 서비스를 하는 업체를 찾아스셔
구축 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현재 기계실을 active로 운영하다가
화재 나면 idc쪽에서 짜잔~ 하고 구동되는 이중화를 말씀 하시는거 아닌가요??
이건 dr이네요
현재 기계실에 있는걸
전부 idc로 옮겨서 서버단위의 이중화 하시는거면 ha 이중화구요.
dr이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뿐 아니라 네트웍쪽도 잘 보셔야 할것 같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고가용성은 서비스의 측면, DR 은 데이터의 측면 입니다.
서비스가 문제가 될때 다른쪽으로 서비스랄 할 수 있는 것들이구요
( MS 의 MSCS,WSFC 오라클의 RAC , Mysql 의 Galera 등 )
DR의 데이터의 복제에 주를 맞춥니다.
(MS 의 ALWAYS ON , 미러링, 복제 등 다른 DB는 제가 잘 몰라서 ^^ )
MS의 ALWAYS ON 은 다른 지역에 대한 서비스 전환도 가능하고 DR도 가능 합니다.
어플리케이션은 L4 로 엮어야 하니, 다른 곳에 위치한다면 L4 를 어디다 놓느냐에 따라 방법이 여러가지 가능 하구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두 서버가 서로 작동하고 있는지를(Heart beat) 체크하면서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먼 위치보다는 가깝게 두는걸로 생각되고요.
이중화의 목적은 하드웨어 장애에 대한 가용성 확보라고 생각되네요.
화재 같은 재난에 대한 대비를 하려면 DR을 구축하는게 맞는게 아닌가 싶고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DB는 MSSQL 같은 경우는 MSCLUSTER(Active & Standby)
Oracle은 RAC가 있습니다.(Active & Active)
근데.. 뭣보다 중요한것은..
이중화 하려는 시스템에 대한 특성입니다.
이건 담당하시는분이 잘 아시겠죠.
이중화가 만능은 아닙니다.
이중화 구성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구요.
전문 업체와 상의하거나 많은 공부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진짜 가벼운 시스템인데도 업체에서 이중화로 제안해 오면..
그냥 싱글로 구성해 버립니다.
가상화로 HA를 구성하던지..
그냥 가상화를 하는것만으로도 장애 대응은 가능해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2016부터는 소프트웨어 레벨로 L4 로 처리하는데 꽤 만족할 만큼의 성능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Cloud DB 를 사용하면 장애시 자동 복구 및 자동 Fail-over 으로 마스터 DB 장애 발생시에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화된 백업과 서비스 운영중 실수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변경으로 이전 시간으로 데이터를 복원해야 할 때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여 DB를 복원할 수도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DB는 어떤 DB 인지에 따라....
저희는 MS SQL 은 MS failover cluster 구축해서 Active-Passive 구축 했고 잘 동작합니다. failover 될때 수초 끊기는 현상은 있습니다.
Oracle 은 RAC 로 Acive-Active 구축했고 아주 잘 동작합니다. 서버 죽어도 끊기는 일은 없습니다.
둘 다 외부 전문가 도움을 받아서 구축했고 운영만 저희가 하고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