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상화 솔루션 비교를 하려고 합니다.
선정기준은
1) 중장기 관점 : 10년은 사용
2) 운영 및 유지관리 관점 : 유지보수업체가 변경 되더라도 문제가 없어야함(보편적이어야 함.)
3) 가상화 기술 및 확장성 : 기술지원 용이 및 변화에 대한 확장성이 있어야 함.
이런 기준으로 선정 하려고 하는데..
VM-Ware(외산) VS 오케스트로에 콘트라베이스(국산) 를 비고 했을때 어느 솔루션이
위에 선정 기준 관점에서 좋을지.. IT 전문가님들에 Feedback 부탁 드립니다.
영업멘트는 사양 합니다.
해당 질문의 문제를 해결, 도움이 되는 선택된 답변이 있습니다.
작성된 다른 답변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1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10년 장기 사용을 고려한다면,
아무래도 안정성이 검증된 솔루션이 좋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그런 맥락에서 VMware 는 안정성, 레퍼런스, 확장성 면에서 가장 안정적인 선택지가 될것같습니다.
다만, 최근에 VMware의 브로드컴 인수로 인해 라이선스 정책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어 도입시 잘 살펴보세요.
콘트라베이스는 예산이 제한되거나 국산, 공공조달 요건이 있는 경우라면 좋은 선택지가 될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비교 대상 보다는 어느 제품이 더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 하는지 봐야 할것 같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예산의 여유가 있다.
→ 100명 중 99명은 vmware 씁니다.
→ 일단 사례가 많아서, 이슈가 발생되도 해결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산이 빡빡하다.
→ 레퍼런스가 많은 가성비 제품 추천 (대형 고객사 레퍼런스 보유 여부 체크 필수)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VMware와 오케스트로의 주요 차이점
항목
VMware
오케스트로
주요 역할
가상화 기술 제공 (VM, 네트워크, 스토리지)
워크플로우 및 인프라 관리 자동화
적용 대상
가상 머신 및 전통적인 IT 인프라 관리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컨테이너 기반 환경 관리
대표 기술
VMware vSphere, ESXi
Kubernetes, Terraform, Apache Airflow
초점
하드웨어 리소스를 추상화하고 가상 자원 생성 및 관리
다양한 도메인에서 작업의 자동화 및 프로세스 최적화
VMware는 가상화 환경을 제공하여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오케스트로는 자동화 및 작업 최적화에 집중하며, 대규모 환경에서 IT 인프라 및 서비스 워크플로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장기로 보면..안정성 확장성이 중요한 변수로 보이며.
본사는 가트너에서 여러 업체별 솔루션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하는 참조하여 선정합니다.
여러 현업이 추천하는 것도 좋지만.. 신뢰성있다라고 이야기 되는 곳에서 자료 비교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외산과 국산을 비교하는건 VM 기반 환경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대체할수 있느냐인데요
Vmare vs 콘트라베이스 또는 openstack vs 콘트라베이스 , 뉴타닉스 vs 콘트라베이스
Xen vs 콘트라베이스 , 쿠버네티스로도 가능하겠구요
다양한 가상화 솔루션으로 안정적이고 무중단 없이 그리고 타제품 연동과 운영 방식에
문제점이 없고 효율적으로 관리가 되는지 체크해 보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비용적인 측면에서 외산보다 국산 제품소만사 제품도 괜찮다고 봅니다. CC인증도 되어져 있고 VMWare는 매년 라이센스비를 지불 하는 방면 소만사는 라이선스비가 없고 유지보수 비용만 들어갑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10년 정도는 VMWare나 오케스트로나 현 관점에서 큰 차이가있지는 않을걸로 보여지네요.
10년이라는 세월이 생각보다 빨리 지나 버리더군요.
10년 금방 지나 가 버립니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들이 구매일로 부터 10년 정도는 패치나 부품이 제공되지 않을까요~
VMWare는 구독형 라이선스만 선택 가능해서... 라이선스 제약에 비교적 자유롭다면 오케스트로를 선택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외산보다는 국산이 좀 더 근접 기술 지원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요즘 가상 솔루션들 간의 깊이는 편의 기능, 성능 차이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요.
내부 밑바닥 들어 가보면 동일한 베이스에서 만들어져 추가적인 포장제들만 새롭게 만들어져서
오십보 백보 수준의 차이가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스스로 해결해 보겠다는 자신감이 있다면 오픈 소스 가상화에도 관심을 가져 봐도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고, 든든한 지원자에게 의지하고 싶다면... 국산 솔루션이나, 국내 기술 지원을 해주는 회사를 통한 외산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VMware가 브로드컴에서 인수한 뒤 가격정책이 변경되어 논란이 되지만
기능, 성능, 사용자 편의성, 유지보수 등 모든 면에서 압도적입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비용만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저도 VMware 를 추천하고 싶네요.
국산을 사용하면 좋겠지만, 기술력이나 지원 인력 풀 등을 고려 했을 때는 해당 제품이 제일 무난할 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제가 회사를 여러군데 옮기면서 봤는데 가상화 솔루션 자체를 대부분 vmware VDI같은걸 사용합니다.
그리고 국정원 CC인증도 받았고, vmware를 유지보수 하는 협력업체들이 많아서 제가 만약 담당자라면 조금 비싸더라도 vmware를 사용할 것 같습니다.
현재도 vmware vdi 사용중에 있습니다.
지극히 현재 사용하는 관리자 입장에서 말씀드렸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