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말 최대한 아는 선에서 이것 저것 시도해보다가 여기까지 찾아오게됐습니다.

15명정도 사용하는 사무실에 LG유플러스 기업인터넷을 사용중입니다.

간헐적으로 인터넷의 핑이 100~3000ms 까지 튀어서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고있습니다.


현재 회선 구성은 이렇습니다.

허브1-5는 Iptime H8008IGMP 모델입니다.

TPS LG회선 - 사내 공유기(BE19000) - TPS 24포트 허브(TP link SG1024D) - 허브1 - PC 2-3대 + 복합기

    - 허브2 - PC 4대

    - 허브3 - PC 4대

    - 허브4 - PC 4대

    - 허브5 - PC 2대 + NAS 


사무실의 인원이 많아 짐에 따라 핑이 심해지고, 퇴근을 하면 빈도나 핑의 Max. 가 줄어들긴 합니다만 핑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통신사 기사님도 5번 정도 방문 하셨었고 문제 해결을 못했습니다.

추가로 허브1-5번까지도 한 번 새걸로 싹다 교체한 상황입니다.

어떤 문제인지 정말 알고싶어서 이렇게 글 남깁니다.



 



태그가 없습니다.

19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17일 전

허브의 문제가 있는경우가 많아서 교체나 직접연결을 통해 간단하게 원인을 파악해 볼수 있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8일 전

꼭 비싼 제품이 다는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iptime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하단에 허브를 여러대 배치하더라도 메인 회선에 연결되는 공유기는 

안정성이 검증된 다른 장비로 교체하셨으면 합니다.

다른 의심되는 부분은 루핑이 도는것 같은데요

핑이 심하게 튀거나 끊어지는 증상은 대부분 루핑이더라구요

저희도 비슷한 증상이 있어서 인터넷 공사 업체를 여러군데 의뢰했는데

이런 경우는 장비를 다 뽑고 하나하나 다시 연결하면서 체크하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그나마 15인이면 몇시간 안에 원인을 찾아볼수 있겠네요.

직접 작업하기 힘드시면 업체에 루핑 체크 의뢰하시는게 빠를겁니다. 15인이면 금방 합니다.

보통 100인이상 사무실이면 며칠씩 걸려서 업체도 왠만하면 안하려고 하거든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8일 전

제 생각에는 대역폭 과점유 문제가 더 있을 것 같은데요.
PC를 조사해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퇴근 시간 이후에는 안그런다고 하시니 문제가 있어보이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1일 전

공유기 문제가 있을걸로 보이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1일 전

PC가 연결되어있는 허브들을 다 교체 보셨다고 하니 남은구간은 사내 공유기(BE19000) - TPS 24포트 허브(TP link SG1024D) 이 구간인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TPS 허브 문제일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고 생각하나 추가로 테스트를 진행 해 보시죠.


사내공유기에 노트북 1대(A 노트북), TPS 허브에 노트북(B 노트북)을 한대 연결 하셔서 구간별 Ping 테스트를 진행 해 보시기 바랍니다.


  • 1.공유기와 연결되어있는 A 노트북에서 TPS 허브에 연결한 B노트북간 Ping 테스트
    - A노트북, B 노트북에서 각각 서로 Ping 테스트

  • 2.A노트북에서 Hub 1 ~ 5에 연결된 장비로 Ping 테스트

  • 3.B노트북에서 Hub 1 ~ 5에 연결된 장비로 Ping 테스트

이렇게 테스트를 해보시면 Ping 높아지는 구간 확인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2일 전

허브 또는 PC들에 대해 랜케이블을 빼고, 꽂고 하면서 찾아야 할거 같은데요.

아니면, ipTime 제품과 TP Link 제품이 잘 안맞아서 일 수도 있고요.

제품 교체 이전에 랜케이블 갖고 찾아보셔야 할거 같습니다.

정 안되면 제품 교체도 해보셔야 할거 같고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3일 전

결국 하나씩 확인하는 방법 밖에

없어 보입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3일 전

간헐적으로 핑이 튄다는 말은 장비의 사양 이슈도 있게지만

특정 사용자의 트래픽 과점유도 있을듯 합니다. p2p, 채굴, 스트리밍 등

사내 공유기에 QoS 기능이 있다면 QoS 설정을 해보세요.

그리고 특정 사용자의 트래픽 점유는 없는지도 체크해보시구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3일 전

기업회선이 아닌 기가인터넷일것 같구요

내부 인원이 15인이라면 스위치 문제보다

보안 문제를 더 유심히 봐야 할것 같고  내부 프로그램과 특정 사이트 접속

그리고  네트워크 불안요소들이 있을겁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23일 전

안녕하세요. 

이전 사무실에서는 소호를 쓰다가 기업용 기가인터넷으로 바꾼걸로 알고있습니다.

보안문제는 방화벽 말고 추가로 어떤 걸 하면 좋을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3일 전

 허브5 - PC 2대 + NAS  이 부분 혹시 나스 사용량이 많아 허브5번이 뻗을수도 있겠네요


1차로 NAS 를 TPS 24포트 허브(TP link SG1024D) 장비에 연결해보고


동일 증상 발생 시 허브 5번부터 4 3 2 1 순서대로 제거하며 증상이 사라지는 부분 체크 해보세요

Reply

게시글 작성자 | 23일 전

제가 해볼 수 있는 대안들 중에 하나가 

허브 1-5까지 하루씩 돌아가면서 빼고 진행해보는 것이라 해봤을 때도

 핑 현상이 일단 계속 발생했습니다 ㅠㅠ

혹시 더 해볼만한 것들이 있을까요?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3일 전

ping loss 가 생기고, 느려지는 시점에서 장비를 하나씩 제거해 보며 문제가 되는 곳이

어디인지 찾는게 무식해 보이지만 제일 빠른 방법입니다.

그때 찾지 못하면 원인 찾기가 쉽지 않은것 같아요....

허버나 PC에서 문제가 없다면 다른분들이 얘끼하신것처럼 Switch 를 체크해 보셔야 할 거 같아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3일 전

제가 봤을땐 공유기와 그 뒤에 있는 허브로 쓰는 스위치 장비가 걸립니다.

그냥 돈 조금 투자하셔서 LG회선 라우터 밑에 공유기를 빼고 방화벽을 구성하시고 그 아래에는 시스코 스위치 EOS 끝난 싼걸로 구입하셔서 그걸로 구성하시면 핑이 줄어들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순히 LG회선 아래 인터넷을 구성하기 위한 용도로 공유기를 설치하신것이면, 방화벽을 두시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24일 전

사용하는 스위치들이 너무 저가형 제품으로 구성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 같네요.

고가의 스위치 장비를 사용하기는 어렵더라도

안정성이 최소한 받쳐 주는 제품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보이네요.


확신은 하기 어렵지만... 저 구성에서 가장 의심 가는 장비는 TP link SG2024D에 과부하가 바생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추정이 가네요.

어느 스위치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는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기 위해서 ping test를 여러 가지로 해 볼것을 권유합니다.

허브 1아래에 있는 PC 간에 ping Test, 허브2 아래에 있는 PC 간의 ping test, 허브3 아래에 있는 PC 간의 ping test, 허브4 아래에 있는 PC 간의 ping test, 허브5 아래에 있는 PC 간의 ping test를 해보면서

허브1 아래에 있는 PC에서 허브2 아래에 있는 PC, 허브3 아래에 있는 PC, 허브4 아래에 있는 PC, 허브5 아래에 있는 PC로 ping test도 함께 해 보고요.

그리고, 허브1, 허브2, 허브3, 허브4, 허브5 아래의 PC에서 BE19000 공유기로 ping test를 동시에 시행해 보면서 간헐적으로 ping이 끊길때 함께 끊기는 ping이 어느 것인지를 확인해 볼 것을 권유합니다.

허브1~허브5, SG1024D 모두가 동시에 끊기지는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허브1과 SG1024D가 끊긴다거나, 허브2와 SG1024D가 끊긴다거나, BE19000으로 가는 ping이 모두가 끊긴다거나... 하더라도 허브1 내부 PC끼리, 허브 2 내부 PC 끼리 ping, ... 은 정상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을 걸로 보여지는데요.

ping이 끊길때 함께 끊기는 구간의 ping으로 어느 장비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지를 찾아 본다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되네요.

허브5에 NAS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과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고...

SG1024D는 하단의 트래픽들이 몰리기 때문에 과부하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이고요.

정확하게 어떤 스위치에서 과부하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해서 방안을 마련할 것을 권장합니다.


느낌상... SG1024D 스위치를 시스코 SG220 정도 장비로 교체해 줘도 해당 문제가 해결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 드네요.


Reply

게시글 작성자 | 24일 전

감사합니다 ! 

핑테스트 후에 SG220 구매도 한 번 고려해보겠습니다.
혹시 H8008 모델은 변경할 필요 없을까요?

Reply

| 24일 전

미니 스위치를 여러개 사용하는 것 보다는 가급적 안정적인 성능의 포트가 충분한 스위치 한대를 사용하는것이 더 권장되지만...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서... 케이블 공사를 하기 어렵고, PC 몇대가 있는 방이 여러개 일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미니 포트 스위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있더군요.

미니 스위치 아래에 연결된 PC 대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미니 스위치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부하가 가해지고 있는지 여부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NAS가 연결되어 있는 허브5는 NAS를 따로 떼어 내어 제대로된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해 주는 스위치에 연결하거나, 허브5 자체를 안정적인 스위치로 교체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을 것 같아 보이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4일 전

사내 공유기 환경 설정을 다시 확인해보세요~~공유기에서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24일 전

안녕하세요. 

사내용 설정은 어떻게 달라야하는지 참고할만한 것들이 있을까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22일 전
  • 댓글 : 18일 전
  • 24일 전
  • 댓글 : 17일 전
  • 26일 전
  • 댓글 : 4일 전
  • 약 한 달 전
  • 댓글 : 약 한 달 전
  • 약 2달 전
  • 댓글 : 약 한 달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