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그룹웨어 서버를 3중화 해서 사용중에 있는데 (전부 Active 입니다.) L4 스위치에서

로드밸런싱 통해서 부하를 나누고 있고, 실시간 동기화 해서 사용중입니다.

며칠전부터 그룹웨어#2 서버에만 접속하면 메일 사서함을 열때 굉장히 느려서 업무에 불편함을 겪는

직원들이 생겨서 그룹웨어 업체에 문의해보니 업체에서 테스트 했을때는 느린 현상이 없고 

시스템에도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일단 확인해본 바로는 네트워크 문제도 아닌거 같은데 혹시 이와 같이 비슷한 상황이나

생각나시는 원인이 있다면 의견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룹웨어 시장점유율 1위 하이웍스입니다.

Sponsored https://main.hiworks.com/

기업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기업메일, 그룹웨어, 인사근무, 경리회계, 세금계산서 기능을 제공하는 올인원 업무 플랫폼입니다.

자세히 보기

10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약 한 달 전

이중화, 삼중화 되어 있는 환경에서 성능 문제는 정말 다양합니다.

삼중화 환경은 서버,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모두 해당되는 부분이라

관련 모든 업체 소집해서 함께 체크해야 됩니다.

그룹웨어 업체만 체크해서 될 일은 아닙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어떤 문제가 발생 했을 때 그 시점이 가장 중요합니다. 

문제가 발생한 시점에 어떤 작업, 어떤 변경이 발생 했는지 체크를 해 보세요.

대부분 아무것도 안했다고들 하는데 분명히 무슨 일인가 일어나서 해당 현상이 발생하게 된 계기가 있습니다.

그 부분을 먼저 체크 하셔서 원복을 하던, 아니면 문제점을 찾던 하면 제일 빠를꺼에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그룹웨어#2 서버에만 접속하면 메일 사서함을 열때 굉장히 느려서 업무에 불편함을 겪는다면... #1, #3 서버에서는 동일 사용자가 메일 사서함을 열 때 문제가 없다고 볼수 있을까요?


그리고, 확인해본 바로 네트워크 문제가 아니라고 하는 건 업체 측에서 그룹웨어 포함해서 전반적으로 살펴봤을까요? 단순하게 네트워크 점검만으로 이상이 없다고 했다면 그룹웨어#2 서버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내용에는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모든 그룹웨어 서버가 하나의 DB를 사용하는지? 


만약 그렇다면  DB 커넥션 풀 설정 차이나 DB서버와 그룹웨어#2 간 연결 경로의 네트워크 이슈로 인하여 특정 서버에서 DB 연결이 느릴 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특정 부분만 점검할 건 아니라고 생각이 들고 유지보수 계약이 되어 있다면 네트워크, 서버 등 관련된 모든 담당자를 불러서 일괄적으로 흐름을 체크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업체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한다면, 직접 다이렉트로 접속 하여 테스트 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문제가 발생한 시점에 변경작업이 있었는지 확인 및 L4 설정도 다시 한번 점검 해보시기 바랍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며칠전 부터 느려졌다고 하셨는데요.

특정 시점 이후 부터 느려졌다고 한다면,

해당 시점 전에 어떤 작업을 했는지 확인해보시면 어느정도 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테스트 할 수 있는 방법은 L4 IP로 접속하지말고 다이렉트로 서버IP로 접속을 해서 느린지 테스트 해보시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로드밸런싱 설정상 문제로 보여집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메일큐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거 아닐까요~한쪽에 부하가 많이 걸린듯한데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서버구성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서버 3대가 액티브이면 메일함은 너느서버에 집중이 되는지도 궁금하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L4 스위치의 세션 지속성(Session Persistence) 설정에 문제가 있을수 있겠네요

그룹웨어#2 서버에서  스토리지(NAS)간 네트워크 지연 확인과

그룹웨서 세션간 동기화 충돌로 인한 락(Lock) 발생되어 문제가 될수도 있습니다.

L4에서 설정된 세션 지속성, Sticky Session): 첫 요청 후 같은 클라이언트는 동일 서버로 계속 연결되면 세션이 길게 늘어질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버별 리소스 사용률 비교 모니터링과 로그 확인으로 성능이슈인지, Lock 또는 세션 이슈인지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약 한 달 전

수신된 쌓여 있는 메일이 많기 때문이 아닐까요..?

서버를 3중화 했다면... 

데이타를 공유 저장 장치에 저장해두고 사용하는 건지, 데이타 동기화 방식을 사용하는 건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 같고요.

공유 저장 장치일 경우... 3대 서버와 모두 송/수신으로 저장 장치에 읽기/쓰기로 저장 장치에 접근해야 하는 상황이 될것 같은데... 

블록 장치에 데이터를 메일 log text file 형태로 저장하고 있을 경우에는 블록 장치에 여러 컴퓨터라가 쓰기 모드로 접근함으로 인해 데이터 정합성에 문제가 생기는 상태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3중화하는 데이타의 블록 장치의 동기화 방식으로 저장 장치를 동기화 시킬 경우에는 2대만 동기화하더라도 동기화 부하가 많이 발생하지 싶은데... 3중화로 데이타 동기화할 경우라면 2대를 동기화하는 경우보다 더욱 부하가 많이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요.


부하 문제와 별개로... 메일 서버가 정상적으로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으려면... 도메인 주소, IP 주소가 모두 하나로 매칭되어 있어야 스팸 처리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2중화, 3중화 액티브로 작동하려면 각각의 서버 IP가 활성화되어 작동하는 상태라야 할 것인데... 동일한 가상 IP를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닐것인데... 세대 모두 서로 다른 IP를 고정해서 사용해야 할 것인데... 어떻게 동일한 메일 주소로 수신 되는 메일을 세대가 모두 액티브로 작동하면서 각각의 메일 서버가 부하를 분산하면서 수신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드네요.

가상 IP를 가진 중간 기기가 메일을 수신해서 세대에 분산해서 전달해주는 방식이라면... 수신한 메일을 분산 전달하는 것보다는 바로 저장해 버리는 게 오히려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요.

SMTP 메일 송수신 서버는 이중화, 상중화 없이 한대로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POP3, IMAP 서버를 삼중화해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이해가 될 것 같은데... 메일 서버 자체를 3중화... 그것도 모두 액티브로해서 작동시킨다는 게 이해가 쉽지는 않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IT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4일 전
  • 댓글 : 약 12시간 전
  • 6일 전
  • 댓글 : 약 12시간 전
  • 10일 전
  • 댓글 : 약 10시간 전
  • 약 한 달 전
  • 댓글 : 20일 전
  • 약 한 달 전
  • 댓글 : 약 한 달 전
  • 약 한 달 전
  • 댓글 : 약 한 달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