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에서 11로 사내 PC 들 업그레이드 진행 예정입니다.
기존 윈도우 업데이트에서 11업데이트가 뜨는 PC들은 진행하면 되는데
안뜨는 PC들이 있어 검색해보니, Windows11InstallationAssistant 를 이용하라고 하더군요.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실행하는데 여러대 PC에서 업그레이드 실패가 뜹니다.
혹시 Win11_24H2_Korean_x64.iso 파일을 직접 실행하여 윈도우10 에서 11로 업그레이드 진행시에
문제될만한점은 없을까요?
13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답변참고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iso 파일의 문제가 아닙니다. InstallationAssistant 로 무조건 업그레이드가 되는것도 아니구요.
맹점은 메인보드가 tpm 2.0 을 지원하느냐에 따라서 갈립니다.
tpm 2.0이 지원이 되고 활성화 되는 메인보드에 한해 윈11 업데이트가 지원됩니다.
그 외에는 업데이트가 안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하드웨어적 사양이 틀리면 윈도우11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이부분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먼저 Win11에서 요구하고 있는 H/W 사양에 사용하고 계신 PC가 만족하고 있는지 체크를
하시고, 문제가 없다면 해당 방식으로 진행해도 문제는 안될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안녕하세요! 윈도우 10에서 11로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계시네요.
ISO 파일을 사용하여 윈도우 10에서 11로 직접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완전히 유효한 방법입니다. 몇 가지 고려사항과 권장 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ISO 파일을 통한 업그레이드 방법:
1.ISO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마운트하거나 USB에 부팅 미디어로 만들 수 있습니다.
2.마운트 후 setup.exe를 실행하면 인플레이스 업그레이드(기존 파일, 앱, 설정 유지)가 가능합니다.
고려해야 할 점:
●하드웨어 호환성: Windows 11 업그레이드가 표시되지 않는 PC는 TPM 2.0, Secure Boot, 프로세서 호환성 등의 최소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ISO를 사용해도 이러한 요구사항은 검사됩니다.
●백업: 업그레이드 전 중요 데이터는 반드시 백업하세요.
●드라이버 호환성: 특히 오래된 장비에서는 드라이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내 소프트웨어 호환성: 기업용 소프트웨어가 윈도우 11과 호환되는지 확인하세요.
●라이센스: 기존 라이센스는 일반적으로 업그레이드에도 유효합니다.
권장 단계:
1.테스트 PC에서 먼저 ISO 업그레이드를 시도해보세요.
2.로그를 검토하여 Windows 업데이트 어시스턴트에서 실패한 원인을 파악하세요.
3.회사 보안 정책이나 그룹 정책이 업그레이드를 차단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세요.
4.하드웨어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PC는 우회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기업 환경에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만약 구체적인 오류 메시지나 실패 원인이 있다면 더 자세한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저희가 최근에 Windows 11이슈건으로 Microsoft 공공조달분야에 제안하고 있는 내용을 공유해드리오니 업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론소프트엔은 기존 사람이 했던 방식을 무인자동화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다양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Windows 11 24H2의 보안요건인 신뢰보안부팅 & 디스크암호화(BitLocker)를 충족하면서
OS영역드라이브을 포맷하지 않는 비포맷방식의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국내유일하게 OS영역드라이버만 포맷하는 방식의 "마이그레이션"조건으로 두 가지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합니다.
기존 대거인력투입해서 장기간 진행했던 사업을 무인자동화로 Windows 11으로 설치전환하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기존 패치제품의 Windows 11 업그레이드 한계 ]
Windows 10의 마이너 빌드 버전(1607,1909,,,22H2)을 Windows 11 24H2로 업그레이드시 기존 Windows OS상의 Temp & & Cache등의 노후화 악성파일로 인한 업그레이드실패하는 경우가 상당히 발생함.
업그레이드 실패시에 다른 대안이 없으며 기존 방식대로 운영관리 및 유지보수담당자가 현장PC를 직접 USB를 사용하여 OS업그레이드 및 프로그램설치해야함.
기존 패치관리제품의 경우 트래픽으로 인한 제한으로 업그레이드나 배포할 수 없으며, 배포하더라도 트래픽해소를 위한 배포서버를 추가증설해야하는 비용부담문제 발생함.
[ Windows 24H2 업그레이드 필수요건 및 설치전 & 설치후 체크리스트 ]
>> Windows 24H2 업그레이드 사전 확인사항
CPU상의 TPM(*Trusted Platform Module 2.0,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 모듈)존재여부 확인필요(*미존재시 교체대상PC)
신뢰보안부팅 설정상태 사전 확인필수(*BIOS > SecureBooot > Enabled_활성화)
Memory용량 16G이상 및 Disk타입 및 기존 PC 디스크잔량여부 진단.
운영체제 빌드(Windows 10 22H2이하여부)버젼한해서 업그레이드 필요.
>> Windows 24H2 업그레이드 사후 확인사항
Windows 11 OS정품인증여부.(*디스크복사시 정품인증오류발생함)
실시간 시스템 이벤트로그 > BSOD(블루스크린)발생여부 및 이슈발생시 Full Dump추출필요.
실시간 리소스(CPU,RAM,네트워크_Up&Down,Disk I/O)안정화 상태확인.
보안업데이트 및 특정프로그램 설치 및 패치 적용.
[ Windows 11무인자동화 솔루션_제로업솔루션 & 제로몬솔루션 ]
- 솔루션 제안서 다운로드링크
솔루션 제품명
제안서 다운로드
소개영상
제로업솔루션(*OS주기관리 및 이미지배포자동화)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로몬솔루션(*지능형 장애예측 및 대응자동화)
다운로드
바로보기
Windows 10 > 11 빌드버젼 업그레이드 및 마이그레이션 제시 적용방법
적용방법
(빌드 업그레이드vs 마이그레이션)
필수요건
제론소프트엔社
#제로몬#제로업
Windows 10 22H2 > Windows 11 23H2 빌드 업그레이드
(*순정이미지_OS영역 비포맷방식)
•UEFI BIOS
(#제로몬)
Windows 10 22H2 > Windows 11 24H2 빌드 업그레이드
(*순정이미지_OS영역 비포맷방식)
•신뢰보안부팅
•BitLocker(디스크암호화)
(#제로몬)
Windows 10 22H2 > Windows 11 24H2 빌드 마이그레이션
(*순정이미지_OS영역 포맷방식)
•신뢰보안부팅
•BitLocker(디스크암호화)
(#제로업)
Windows 10 22H2 > Windows 11 24H2 빌드 마이그레이션
(*마스터이미지_OS영역 포맷방식)
•신뢰보안부팅
•BitLocker(디스크암호화)
(#제로업)
(* 마이크로소프트社의 UEFI Codesigning인증기반의 국내 유일보유기술을 활용한 신뢰보안부팅 및 디스크암호화(BitLocker) 기술지원 가능)
순정이미지 : 마이크로소프트社에서 제공하는 Windows OS빌드 업그레이드용 이미지로 기타프로그램을 설치나 탑재되지 않은 업그레이드용 최신버젼을 지칭함.
마스터이미지 : Windows 11 24H2+이기종드라이버+최신보안업데이트+고객사어플리케이션+VPN&AD이후 보안프로그램(DLP,DRM,SEP,EPS,,)+IP Address&네트워크프린터 설정
-.제로업,제로몬솔루션의 업그레이드 및 마이그레이션 성능
대상 솔루션
적용방법
적용수량
네트워크상태 / 소요시간
기타
100Mbps
1Gbps
제로업솔루션
OS마이그레이션
695대/최대
40~50분내외
30~40분내외
- 트래픽은 일부 네트워크환경에 따라일부 발생함.
- 데이터백업은 사용자 책임 및 권한임
제로몬솔루션
OS업그레이드
3,450대/최대
50~60분내외
40~50분내외
참고하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윈도우 10 버전을 확인 해봐야 겠네요. PC사양이 안되는 경우가 아닌지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지금당장에 10에서 11로 무리하게 올리실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보안인증같은곳에서 OS관련 내용이 있는데, OS 종료가 된다고 해서 바로 조치 안하고 어느정도 관련하여 대비책이 있으면 되기떄문에, 무리하게 하지 마시고 천천히 진행하셔도 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Windows11InstallationAssistant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에러는 아래와 같습니다.
오류 코드
원인
해결책
0xC1900101
호환성
비필수 장치 연결 해제
0x800F0922
소프트웨어 충돌
안전 모드 설치
0x80070005
권한 문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다만 하드웨어 요건(TPM 2.0 미지원 등)을 충족하지 못하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설치가 불가 합니다.
wansoo님 말처럼 우회하여 설치 할 수는 있지만 회사에서 안정성을 포기하고 해야하나 싶습니다.
필요하다면 윈도우11 우회설치로 검색하시면 설치 방법들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류코드 확인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우회설치하면 윈도우 10에서 윈도우 11 설치하고 사용상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압니다.
실제로 테스트 목적으로 설치하고 테스트 해보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문제 없었구요.
다만, MS의 정책이 어떻게 변경될지는 모릅니다.
실제로 MS가 윈도우 11에서 하드웨어 충족이 되지 않으면 워터마크 문구를 보여줄꺼라고는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최악에는 패치 업데이트 지원이 안될 수도 있구요.
현재까지는 사용상에 문제는 없지만 위험부담은 존재하니 정상적인 방법으로 갈 수 있다면
정상적인 방법으로 하시는것 추천드립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하드웨어적으로 window 11의 조건들을 갖추고 있어줘야 업그레이드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요구 조건을 갖추지 못했을 경우에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registry 설정값을 강제로 변경해서 window 11로 업그레이드되게 할 수 있지만, 정상적으로 업그레이드되더라도 성능이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기 때문에 업무용 컴퓨터라면 안정성을 포기하면서 까지 억지로 업그레이드 사용하는 건 권장하고 싶지 않아 보이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