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제작업을 하다보니 6개월에 8테라정도 쓰더라고요ㅠ
도킹스테이션 2베이짜리 하드 번갈아가며 끼우다가
1년동안 하드 3번 날려먹어서 (볼륨오류로 2번, 새하드인줄 알고 볼륨지정하다 포멧 1번)
스토리지용? 백업용 컴퓨터가 필요해서 찾고 있는중인데 몇가지 해결책이 보이는거 같으면서도
제가 컴퓨터쪽으론 잘 모르다보니 질문글 드립니다
필수조건
하드가 최소 12~20개정도는 들어가야됨
홈네트워크로 메인PC에서 손쉽고 빠른게 파일에 접근 및 불러오기 가능(NAS보단 DAS, 외장하드 느낌)
레이드? 2중 백업이 됐으면 좋겠음
2~3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접속 가능했으면 좋겠음(접근권한 부여라던가 가능하면 더 좋겠음)
24시간 상시가동X 백업이나 자료 필요할때만 킴
나중에 웹하드처럼 사이트를 만들어서 호스팅 하고싶음
위에 조건이 막 엄청난건 아니다보니 개인적으로 찾아본 내용들 공유 드립니다.
1. 알리에서 케이스 구매
장점은 저렴한 가격이지만 단점으론 내부에 있는 케이블이 과연 속도를 내줄만한 스펙인지 모르겠음
(영상쪽은 SDI케이블과 HDMI케이블의 속도차이가 있는데 컴퓨터도 그런게 있을거 같다는 추론)
그리고 HDD 15개가 박히는 마더보드가 있는지도 의문
2. 알리에서 서버같은걸 구매
장단점은 위와 동일하고 SAS 하드가 중고로 저렴하다보니 구매해서 쓸만 할거 같지만
서버용 보드? 램?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접근하기 걱정됨
그리고 쓸때만 켜도 되는지도 의문 (추후 웹하드처럼 사이트 만드는용으로 확장성에 좋을거같단 생각)
그리고 무엇보다 간지남
3. 중고서버 구매
이쪽 부분도 아예 모르다보니 뭐가 좋은지 상태가 괜찮은지 모름...
PC와 연결했을때 인터페이스가 일반 pc처럼 보이는지 아니면 바이오스 창처럼 보인다던가
그러면 좀 무서울거 같기도 하고... 먼가 심오한... 전문적인 영역 느낌이라 고민됩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떤 해결책이 있으실까요?
예산은 하드 미포함 4~5백 언더입니다
다른 사이트에 질문 남겼을때 시놀로지를 추천해주셨는데 시놀로지가 정답인지...
sata포트 확장카드를 쓰는건 어떠냐고 하셨는데 이쪽에 대해선 아예 모르고 안정성도 괜찮은지 모르겠네요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이라 두서없이 질문글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14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Qnap vs 시놀로지를 구입하시는게 가장 적절해 보이네요
각 인클루저 외장 박스로 확장도 가능하니
비교해보시구 계획 잡으시면 되겠네요
중고 스토리지나 중고서버는 절대 구입하지 마시구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DAS는 해당 볼륨에 대한 접근 클라이언트가 하나 일때 구성하는 것이고
현재 구성상 NAS로 구성하셔서 해당 데이터들을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공유하는 개념은 파일시스템을
사용해야 됩니다.
영상 DATA가 꽤 용량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외부 트래픽보단 내부 클라이언트 > NAS 간 트래픽이 많을 겁니다.
워크스테이션급 PC를 사용하고 계실겁니다. 10G NIC 구입하셔서 PC에 꼽으시고 10G UTP 스위치에
NAS 붙이셔서 돌리시면 최소한의 비용으로 가성비의 속도가 나올겁니다.
NAS DATA 수정이 많은 영상 다루시는 회사에서 이렇게 쓰십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영상 작업을 한다와 6개월에 8Tela 정도의 작업한 영상을 저장할 저장 장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인걸로 보이네요.
파일을 저장하는 용도의 파일 서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되겠는데...
파일 서버를 NAS라고 부르고 있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서버 ( Network Attached Storage )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라 할 수 있겠는데...
2~3대 컴퓨터가 함께 사용하는 저장 장치라면 한대 컴퓨터에만 연결해서 사용하는 DAS 보다는 NAS를 사용하는게 맞겠고요.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른다면 시날리지 등의 전문 NAS 제조사에서 판매하는 NAS 제품을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이 괜찮을 것 같아 보이고요.
전문 NAS 제조사에서 웹하드 등의 기능을 기본 탑재한 제품이 많이 있고요.
Linux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직접 SAMBA 서비스를 이용해서 NAS 서버를 구축하는 것도 권유해보고 싶지만... Linux를 잘 모른다면 어려워 보이고요.
Linux에 삼바 서비스를 사용해서 NAS를 직접 구축한다면... 구축한 파일서버에 4~5 베이 도킹 스테이션이나 DAS 장치를 여러개 연결해서 파일 서버를 만들수도 있겠고요.
요즘 나오는 DAS나 NAS, 도킹 스테이션이 자체적으로 RAID 1, RAID 5로 디스크를 묶을 수 있는 기능들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RAID를 구성하는 것은 NAS나 DAS나 모두 가능하다고 보면 되겠고요.
리눅스를 이용하여 NAS를 직접 구축할 경우에는 리눅스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RAID를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장치와 무관하게 RAID를 구성해서 사용할 수 있겠고요.
요즘은 디스크 한개가 24T 용량까지 나오고 있다 보니...
6개월에 8Tela 용량이라해도... 24T 디스크 4개 정도를 장착해서 RAID 1으로 사용해도 3년 정도를 사용할 수 았어 보이고요.
NAS에 도킹 스테이션을 연결해서 저장 용량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도 권장해 보고 싶네요.
컴퓨터를 잘 모르는 상황에서 디스크만을 교체하다 보면 저장된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기 때문에, NAS보다 더 저렴한 2베이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해서 2개 디스크롤 RAID 1으로 묶어 디스크 고장에 대한 위험 방지 대안을 마련해 두고... 디스크 용량이 꽉 찼을 경우에 디스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하지 말고 디스크와 함께 2베 도킹 스테이션 전체를 함께 교체하는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할 걸로 보이네요. 도킹 스테이션에 라벨을 붙여서 언제부터 언제까지 생성한 영상자료, 어떤 내용이 저장된 자료 등을 라벨을 붙여 둔다면 나중에 필요한 자료를 다시 찾아 사용하기도 좋을 걸로 보어지고요.
NAS에 USB 포트가 2개 이상 기본 제공되는 제품들이 많은걸로 알고 있고요.
디스크 두개씩을 RAID 1으로 구성한 도킹 스테이션 2개를 각각의 USB 포트에 동시에 연결해서 사용한다면, 한번에 4개의 디스크를 연결해서 사용( 디스크 4개를 RAID 1으로 구성하면 디스크 2개 용량에 해당 )할 수 있겠고요. 한쪽 도킹 스테이션에 용량이 꽉 차면 다음 도킹스테이션에 새로운 영상을 계속 생성해서 사용하고, 꽉 찬 도킹 스테이션은 라벨을 붙여서 오프라인으로 보관하고, 다시 새로운 도킹스테이션과 디스크를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는 도킹 스테이션의 용량 부족 문제를 미리 대비해 두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한다면 컴퓨터를 잘 모르는 상황에서도 용량에 대한 걱정을 잊어 버리고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 보이네요. 한번에 많은 비용 투자를 요구하지도 않고, 장기적으로 시스템 교체로 인한 위험 부담도 경감 시킬 수 있어 보이고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말씀하신 것처럼 알리에서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은 가성비는 정말 좋지만,
향후를 생각한다면 저는 추천 드리진 않네요.
해당 제품에 대한 신뢰를 크게 할 수 없다는 장점이 있고,
문제가 있을 경우에 해결 방법이 거의 없다는 겁니다. 알아서 해결 하던지,
버리고 새로 구매하던지.....
너무 위험성이 커 보여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말씀하신 내용을 봤을 때
NAS 제품을 추천 합니다.
어렵지 않게 사용이 가능 하고요.
NAS 중에서도 시놀로지 NAS 제품 추천하고요.
시놀로지 NAS 제품이 다양합니다.
테이블에 올려 놓을 수 있는 것 부터, 랙에 장착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가격과 용량 고려하셔서 선택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말씀주신 조건으로 볼때는 NAS가 가장 적합해 보이네요 개중엔 시놀로지는 추천드립니다.
웹사이트 및 파일탐색기로 접속이 가능하고 권한을 부여할 수 있어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사용 할수도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식이 적은 상태에선 대중적인게 낫다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대중적이면 대중적일수록 정보가 많은 법이니까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다른분들 의견처럼
nas를 하시고
hdd는 중고보다 새것을 추천합니다.
컴퓨터 부품중에서 수명이 짧고 고장시 타격이 제일 큰 부품이라 데이터가 중요하시다면 새걸로 사용하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일단 질문사항으로 봤을때는 NAS가 최적으로 보입니다.
권한도 주어지고.. 백업도 되야하고. 위의 용도로 사용하실거면 진짜 대중적인 시놀로지 NAS를 추천드립니다.
중고서버나... 서버를 구매하여 관리를 하게 되면 레이드 구성이라든지.. 하드웨어 고장시 대체품 찾는것도 일이고.. 서버는 유지보수가 되어 있지 않으면. 장애 이후에 고생만 하십니다. 대중적인 NAS로 사용하면서 하드웨어 고장시에는 어느정도 바로 처리가 가능하기에 추천드립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시놀로지 NAS로 구입하세요~ 요즘 시놀로지 사양도 좋고 성능도 좋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잘 모르실때는 가장 대중적인 제품을 쓰시는게 좋습니다.
시놀로지 나스 쓰시구요. 네이버 시놀로지 나스 공식카페 가입하시면 질문 답변도 잘해줍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데이타 안정성 백업 생각하신다면 중국산 저가는
구입 안하시는게..
DAS든
NAS든 네임밸류 있는 제품 구잊하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시놀로지 NAS를 추천합니다. 이유는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알리익스프레스나 중고 서버는 전문 지식이 없으면 관리가 어려울 수 있어 추천하지 않습니다 .
또는 국내 전문 업체에 제안을 받아보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거 같습니다 ;)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성능면에서,
예전에는 직접 연결하는 DAS가 네트워크 통신하는 NAS보다는 안정성, 속도면에서 유리했지만
지금은 네트워크 속도 10G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이보다 더 상위 NIC card도 많습니다.
이 이유로 기업에서도 NAS를 많이 사용하고 속도면에서도 부족함이 없이 사용합니다.
운영면에서,
NAS는 자체적인 os가 있고 별도의 IP를 가지고 있어 NAS 자체만으로도 운영이 가능합니다.
DAS는 운영할 서버나 PC가 있어야 운영이 가능합니다.
기업에서는 모르겠지만 일반 개인이 서버 운영/관리하시기에는 NAS보다는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NAS 중에서는 Sysnology, Qnap, Infortrend가 인지도 있고 모델이 다양합니다.
그리고 이제품에는 데이터 백업 기능도 잘되어 있어 요구하시는 사항 충족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