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무실에서 고정ip를 사용하여 2개의 로컬서버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서버1의 열린 포트는 22, 8081이고 서버2의 포트 24, 3306, 8080 입니다.
여러 테스트를 거친결과 서버1때문에 특정사이트에 연결이 않되는것 같습니다.
서버1를 2번정도 reboot하면 특정사이트에 연결되었다가 이틀정도 지나면,
또 연결이 안됩니다.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사무실에서 고정ip를 사용하여 2개의 로컬서버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서버1의 열린 포트는 22, 8081이고 서버2의 포트 24, 3306, 8080 입니다.
여러 테스트를 거친결과 서버1때문에 특정사이트에 연결이 않되는것 같습니다.
서버1를 2번정도 reboot하면 특정사이트에 연결되었다가 이틀정도 지나면,
또 연결이 안됩니다.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Sponsored http://www.serverbells.com
서버벨은 HP, DELLEMC, IBM, LENOVO, CISCO, FUJITSU, ARISTA, ARUBA 등 전반적인 IT브랜드 신품/리퍼 재고를 유지 및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옵션/파트 등을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자세히 보기
14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서버1의 포트 8081이 다른 프로세스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재부팅 후 일시적으로 해결되었다가 다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 프로세스가 해당 포트를 점유하는 것 같습니다
netstat -ano | grep 8081
방화벽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포트와 서비스가 허용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임시로 방화벽을 비활성화하여 문제가 해결되는지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서버1이 네트워크 상에서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발생시키면 ISP나 사이트 자체에서 서버의 IP를 일시 차단할 수 있습니다. 특정 사이트 연결이 안 되는 현상은 DNS 문제나 외부 IP 블랙리스트 등록 때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 ping 및 traceroute로 경로를 확인해서 특정 사이트로의 경로가 어디에서 끊기는지 확인해보세요.
- MXToolbox 등을 사용하여 서버1의 공인 IP가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외부 사이트라는게 임의
사이트가 아닌 제한된 pc만 접속 가능한
특정사이트인가요?
서버 2대각 각각 ip이면 포트
동일허게
설정해도 아무 문제없습니다.
공유기에서 공인 ip 하나로 나가니 안될때는
모두 안되는게 맞겠죠.
공유기 공인 ip 확인 후 외부 사이트에 연락,
외부사이트 ips나
방화벽에서 차단 되는지
확인 요청하세요
외부사이트는 임의사이트입니다.
그리고 하나의 고정ip로 두개의 서버를 물려서 사용하고 있습니다.ㅠㅠ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특정 서버가 내부 컴퓨터들의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려면...
해당 서버가 게이트웨이(라우터) 역할을 한다거나, DNS 서버 역할을 한다거나, 프락시 서버 역할을 한다거나... DHCP 서버 역할을 할 경우도 간헐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수 있겠고요.
잘못된 설정, 네트워크 충돌 등의 원인으로 특정 서버가 내부 컴퓨터들의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려면... 특정 서버에 할당된 IP 주소가 게이트웨이, DNS 서버, 프락시 서버 등과 충돌이 일어 날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그 이외의 경우에는... 특정 서버가 다른 컴퓨터의 인터넷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네요.
보안등의 특정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서버를 참조해서 인터넷 사용을 허용, 차단 하는 작동을 할 경우도 추정해 볼 수 있긴 하겠지만... 가능성은 낮아 보이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고수님들...많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좀더 세부적 상황을 나열하고 질문을 했어야 했는데..
어떤 상황들을 올려야 하는지 몰라서 그냥 질의를 했습니다.
아는 선에서 세부적으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로컬서버1은 사내Erp시스템입니다.
운영체계는 리눅스 CentOS Linux7입니다.
내부 및 외부에서 접속가능하도록 22, 8081포트를 열어서 접속하고 있습니다.
외부사이트가 연결이 안되면, 공유기에서 고정ip를 변경하면서 접속을 했었습니다.
접속이 안되는 경우는 물품구매시 결제창 연결이 않되는 경우가 있고,
외부의 특정사이트에 연결(403 Forbidden)이 되지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연결이 안될때는 사내에 있는 모든 컴퓨터에서 동일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나머지 로컬서버2는 도메인을 사용해서 로컬서버1과 별도의 서버로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체계는 서버1과 같습니다.
로컬서버2를 말씀드리는 이유는..
혹시 두개의 서버가 포트에서 충돌을 일으키지 않나 하는 생각에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쪽으로는 문외한입니다.)
서버2만 운영할때는 외부사이트에 연결이 않되는 경우는 없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서버1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조언을 해주시기에 어떤 상황과 내용들이 더 필요한지 말씀해 주시면 답변달도록 하겠습니다.
서버도 아니고 특정 사이트만 접속안되는 증상은 아니였지만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 경험이 있었습니다. 유독 한PC가 연결되면 해당PC가 연결된 네트웍 장비의 전체 네트워크가 죽어버리는 현상이었고 방화벽 장비에서 네트웍 장비가 연결된 포트를 차단해버리는 경우였습니다. 결론은 그 PC의 랜포트 이상이었고 내부발 DDos 차단으로 방화벽에서 블락처리되었던 경우입니다.
외부사이트에서 연결이 안될때 다른 인터넷은 영향이 없다면 공유기의 로그를 찾아보세요. 내부발 DDos로 의심하고 외부사이트로 가는 패킷을 차단해버렸을 수도 있어요.
그때당시 USB랜카드를 별도로 설치해서 해결했는데 리눅스라 USB랜카드 설치가능한지 모르겠네요. 아니면 보통 서버는 랜포트가 2개 이상일텐데 랜케이블을 다른 랜포트에 꽂아 운영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외부로 나가는건 모두 allow일 텐데요
서버 1번을 보면 22 (SSH)이고 8081( HTTPS) 포트이고
특정 사이트 문제라면 해당 사이트의 IPS에서
차단이 되어서 그런건지. 또다른 문제는 IP문제인지 체크해볼 필요가 있겠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해당 IP가 차단 되었는지 통신사에 확인이 필요 할 것 같습니다.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 한다고 판단되어 차단 될수도 있고, 다양한 원인이 있을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서버1번에서 리부팅하고 시간이 지나면 특정 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내부 보안 솔루션이 제어되는게 아니라면 특이한 케이스네요.
상황을 좀 더 알려주시면 도움될것 같아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좀 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할거 같아요. 그 특정사이트가 외부인지 내부에서 어떤 서버에서 돌리는지 구성이 어떻게 되있는지 ..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내 서버를 켜면 특정 외부사이트가 안열린다?
아니면 내부사이트가 안열린다인가요?
전자면 특이한 케이스네요
서버나 주변장비의 ip가 특정사이트의 ip를 도용하고 있는 건 아닐까?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이해가 안가는게, 질문에 보면...
여러 테스트를 거친결과 서버1때문에 특정사이트에 연결이 않되는것 같습니다.
서버2번의 포트가 연결이 안된다는건지... 서버1의 포트가 연결이 안된다는건지...
서버2가 포트가 8080열어둔거 보면, 웹서버인거 같은데.. 근데 거기에 3306이 db도 설치되어 있다는건데..
보통 웹서버가 아니고, WAS서버에 DB를 같이 설치하는건있는데..
정확히 어디쪽의 서버가 접속이 안되는지 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