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네트워크가 고정IP만 인터넷이 되도록 설정되어있습니다.
LAN 선은 CAT5.E 로 대부분되어있는데,
최근에 CAT6 랜선으로 스위치허브에 연결되어있는 PC에서 고정 IP로는 연결이 안되고
DHCP 로 자동연결되도록 복구하면 인터넷이 연결됩니다.
해당 DHCP 서버가 CCTV에 할당된 IP이던데, 이럴수도있는건가요?
해당 컴퓨터를 인터넷 사용을 막아놓는 IP로 설정되어야하는데,인터넷이 되어버려서 문제가 됩니다.
해당 질문의 문제를 해결, 도움이 되는 선택된 답변이 있습니다.
작성된 다른 답변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4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랜 케이블은 DHCP 설정과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어딘가에서 DHCP 설정이 되고 있는 것이죠.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랜선은 상관없습니다. 뭔가 DHCP 설정을 하는 게 있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형 cctv 가 dhcp 서버 역활을 하네
케이블은 1도 상관없구
pc가 클라이언트라서 dhcp 서버를 찾을거라 둘이 통신되면 그렇게 되는거야 vlan 설정을 넣어서 한 스위치에서 분리하거나 따로 별도 망으로 붙여야해 박시문 미생님이 제대류 말씀주셨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L7 레이어 구조를 보시면 됩니다. 랜 케이블은 물리 계층이라서 IP 를 부여할 수 없습니다.
https://velog.io/@heyday_7/%EB%84%A4%ED%8A%B8%EC%9B%8C%ED%81%AC-TCPIP-4%EA%B3%84%EC%B8%B5-OSI-7%EA%B3%84%EC%B8%B5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랜선과 고정/DHCP IP 할당은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케이블을 바꾸었다고 해당 설정이 되는 것은 아닐 것이며,
해당 PC가 꼽혀 있는 스위치의 VLAN이 CCTV의 DHCP 서버와 통신이 되게끔
구성이 되어 있는게 아닌가 보여지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랜선하곤 아무 관련 없습니다.
스위치 설정확인해보세요.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몰라서
제가 실수를 했네요. 내부 스위치허브에 연결을해야햐는데 랜선 연결을 CCTV 허브로 했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랜선이 어떤설정을 한다는 자체가 의아합니다.
저도 의아한데, 7층에 다른 컴퓨터를 테스트겸 랜선만 바꿨더니 잠시 안되더라구요.
다시 케이블상관없이 잘되긴했어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랜선이 종류를 말한다면 종류(CAT5e vs. CAT6)가 네트워크 설정 방식(고정 IP 또는 DHCP)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아마다 다른 문제가 있을 것 같은데,
DHCP 서버의 IP 대역 충돌 가능성이나,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 장비 문제 등 을 확인해 보세요.
CCTV 장비가 자체 DHCP 서버 기능을 가지고 있고, 해당 장치에서 제공하는 IP 대역이 기존 네트워크의 IP 대역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랜선에 따라 dhcp 설정되는 게 아니라 상단 장비나 엔드포인트 장비에 따라 설정 됩니다.
상단 장비에서 dhcp를 할당하고 있으면 엔드포인트도 기본적으로는 dhcp를 할당 받게 됩니다.
엔드포인트 장비에서도 dhcp 설정을 해두었다면 dhcp를 받게 되구요 !
결과적으로 두 위치를 확인하시면 될 듯 합니다. 상단 dhcp를 할당해주는 장비와 엔드포인트 장비에서
dhcp 설정이 되어 있는 지요 !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선은 하나인데, 그 안에 고정망으로 대역 돌리시는거도 있고 그 안에 물린 케이블 중에 DHCP서버역할을 하는 뭔가가 있다면 DHCP 배정도 가능합니다.
아예 물리적 네트워크 자체를 CCTV관련 대역이랑 분리를 하시거나, 정히 급하시다면 DHCP에서 IP를 받는 장비의 MAC 등으로 화이트리스트 처리하셔서 필요한 장비만 자동으로 받도록 하시는 방법 정도가 좋을 것 같네요.
6층에서 5층으로 컴퓨터이동하면서 스위치허브만 한개 더 추가된상황입니다.
(기존 7층의 메인 24포트 스위치허브-> 8포트스위치허브->PC연결)
(현재 5층: 7층의 24포트 스위치허브에서-> 4층의 24포트 스위치허브로 연결->PC연결)
->연결안되어있던 단자에 안쓰던 CAT6 랜선으로 연결해서 그런건가 생각했어요.기존엔 CAT5.E 만썼어요
현재는 인터넷연결없이 내부네트워크만 연결된 오래된 컴퓨터라 윈도우업데이트 하고도
,이더넷복구하면 DHCP로 연결되어야만 네트워크연결이 되네요.
다시 한번 케이블도 바꿔보고 CCTV 쪽 네트워크 설정도 봐야할것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IP 주소와 설정된 게이트웨이 주소,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인터넷은 될 수도 안될수도 있습니다.
고정 IP이기 때문에 안된다거나 된다거나, 유동 IP이기 때문에 안된다거나 된다는 건 없고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함께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공유기( 라우터, 방화벽 장비 등 )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가 어떻게 되어 있고, 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가 중요한 내용이 되겠고요.
게이트웨이로 사용되는 인터넷 공유기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IP 주소를 유동으로 할당하든지, 고정으로 할당하든지 제대로 할당되어 있고, 게이트웨이 주소가 인터넷 공유기에 할당된 IP 주소로 제대로 할당되어 있고, DNS 서버가 제대로 할당되어 있으며, IP 충돌이 일어 나지 않는 상황이라면 유동 IP이건, 고정 IP이건 인터넷이 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유동일때는 인터넷이 되고, 고정 할당할 경우에는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는건, 고정 IP를 잘못된 주소 범위에 잘못된 값으로 할당했기 때문에 안되는 것입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