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운영 #ERP #MSSQL #노코드 #NO-CODE #스마트메이커

노코드(No-Code)로 웹ERP제작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제조·유통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직원입니다.

현재 상용화가 되어있는 '경O박사'라는 ERP솔루션을 회사에서 사용 중에 있는데,

모든 기능을 사용하고 있지도 않고, 이를 연동한 대시보드도 개발하려고 했으나 

ERP솔루션 회사에서 열어줄 수 있는 API가 한계가 있어서요.


결국 이를 본따서 웹ERP를 만들려고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데요.

위시켓이나 다른 개발자분들에게 의뢰하고 견적을 받아보고 했는데,

임원분이 노코드로 SAP연동하는 걸 보시고나서 노코드로 개발하자고 하시는데,

웹ERP를 노코드로 개발이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견적이 얼마나 될지...

고견 여쭙습니다.

게시글 작성자가 남긴 피드백입니다.

게시글 작성자 | 0 추천 | 7달 전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종합적인 의견으로는 노코드로 ERP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무리가 있다고 느껴지지만

임직원분들은 그래도 유지보수까지 생각하면 노코드가 낫겠다고 하셔서..

계속 업체를 알아보는 중입니다.

일단 필수 기능만 먼저 모듈화 해서 추가개발계속 하는 식으로 갈 것 같네요..

12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7달 전

ERP 측에서 최종 확인하고자 하는 정보만 나온다면 가능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ERP를 노코드로 개발하는 것은

시기상조인거 같은데요

임원분이 말씀하신 것은 단순 연동으로 보입니다

ERP 처럼 방대한 것을 노코드로 개발하는 것은 현재로썬 불가능 하다고 생각 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웹 ERP를 노코드로 개발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한계와 주의사이 많습니다. 


노코드 플랫폼은 간단한 워크플로우나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ERP처럼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 통합 요구 사항, 확장성을 가진 시스템을 개발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복잡한 비지니스 로직 구현이나 대규모 데이터 처리 보안과 규정 준수에 있어 한계가 있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안되지는 않겠지만 상당한 시간과 시행착오를 거쳐야 할것 같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ERP는 영업단부터 마지막 회계단까지 하나의 프로세스 흐름으로 업무 처리가 됩니다.

ERP는 고도로 특화된 ERP 기능들이 많이 있는데,

이런 부분은 노코드플랫폼 기능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노코드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개발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렇게 되면 개발 속도 향상 , 개발 비용 절감, 유지보수 용이성 등의 노코드 장점이

약해지는 것이라 일반 개발툴로 개발하는 것이 더 가성비가 좋을 수도 있습니다.

ERP의 특정 모듈에 대해서만 개발한다면 효과적인 부분은 있을 수 있겠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답변을 드리자면 노코드로 개발은 가능합니다.

노코드로도 개발을 하기 위한 제반적인 내용들을 정리하고 그걸 기술하고 명세화 하는게 문제입니다.

그걸 하기 위해 필요한 인원의 몸값, 투입할 기간, 금액을 산정하셔서 정리가 되면 그에 따른 프로젝트에 대한 필요한 인원, 솔루션 등이 결정이 나게 됩니다.


그리고 다음이 노코드 툴 등을 활용해서 가시는 단계가 될텐데, 먼저 선행과정이 정리가 되었느냐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게 없는 상황에서 프리랜서나 용역으로 진행을 하시면 정리 안된 부분에 대한 개발이 안된상태로 문제가 생기거나, 그에 따른 추가 개발로 돈이 더 들거나 하게 됩니다.


전산에 안되는건 없습니다. 되게 하려고 하면 생각보다 보이지 않는 돈과 시간, 노력이 들어갈 뿐입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erp라는 것이 소수인원이 노코드로 만들 수 있으면 지구상의 si업체가 관련 인력은 다 망했죠.

윗분이 말을 했으니 관련자료 모아서, 현실은 이렇다는 것을 보여주세요

erp 개발이라는 것이 노코드, sap, 전자정부프레임웍 어떤 도구를 사용해도 소수의 내부 인력으로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ERP가 생각처럼.. 그리 간단한 프로세스로 이뤄진게 아니라..

힘들것 같아 보입니다.

ERP를 괜히.. 돈주고 사용하는게 아니라서.. 

일단 뭐 시도하시겠다니. 솔루션 상담실을 통해 확인을 먼저 해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크X같은 사이트에서 확인도 해보시고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google appsheet로 개발은 가능한데 문제는 DB가 클라우드에 있어야 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제가 볼 때도 쉽지는 않을 듯 한데, 

그래도 모르니 업체 컨텍 하셔서 견적 받아 보세요....

여기서 얼마다 라고 딱 말하기는 힘들것 같아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7달 전

노코드, 로우코드는 단위 처리 업무용 앱 개발에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죠.

No code, Low code가 가능할 수 있는 이유는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기능의 모듈들을 미리 만들어 두고, 그 모듈들을 조립해서 하나의 단위 처리 결과를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수 있게 자동 조립해주는 기술에 도달했기 때문이라 가능하게 된것이라 할수 있겠고요.

ERP 같은 소프트웨어는 많은 기능들이 서로 연계되어 작동되어야 하고, 특수 분야에만 사용되는 기능, 특수한 성격의 장치를 제어해야 하겠고요.

예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다양한 기능의 조합이 요구되기도 하기 때문에... 예상 밖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을 미리 만들어 두기는 불가능에 가깝지 않을까 싶어 보이고요.

로우코드, 노코드 기술이 발전하고 더욱 일반화되게 된다면 더 많은 기능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의 범위가 더욱 확대될 수는 있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아직은 불가하다고 보는게 맞을 것 같고요.

잘 사용하지 않는 많은 기능들을 로우코드, 노코드에서 이용할 수 있게 미리 만들어 둔다는 것 자체가 비효율적인 방법이 아닐까 싶고, 그 정도 수준의 가능한 노코드, 로우코드 툴이 있다하더라도 엄청난 비용 요구로 인해, 차라리 필요한 기능들을 갖춘 ERP 솔루션을 적절한 비용을 지불하고 깔끔하게 만들어 버리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것이고, 성능 면에 있어서도 좋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거라 생각되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달 전

안녕하세요 제가 깊이있게는 모르지만 전체를 노코드로 개발하는건 아마 좀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sap의 경우도 일부 파일럿형태로만 구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진행이 쉽지는 않겠지만 견적이 필요하시면 솔루션 상담실 추천 드립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IT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10일 전
  • 댓글 : 약 2시간 전
  • 11일 전
  • 댓글 : 10일 전
  • 22일 전
  • 댓글 : 11일 전
  • 25일 전
  • 댓글 : 20일 전
  • 29일 전
  • 댓글 : 15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