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버 및 스토리 업부하다 고객사 요청으로 네트워크 장비 일부 장애 점검 및 조치를 받았는데
관리업체가없는 업체다보니..
각 사무소 마다 사용하는 스위치가 브랜드가 다릅니다.
현재 알카텔, 시스코, 유비쿼스?? 또 아루바? 라고 있네요...;;;
확인할건 각 포트별 접속 속도 확인 1G 이하 포트 확인 조치인데.. 시스코 9200시리즈.. 첨 만져봅니다만
전 회사에서 많이 만져본 시스코라 문제없는데 알카텔과 유비쿼스, 아루바 이 장비들은 콘솔연결이 접속
설정값이 다른가요? 지난주 첨으로 알카텔을 접속하려는데 반응이 전혀 없더라구요..
다행이 IP 리스트라도 가지고 있으셔서 텔넷 접속을 했는데 나머지 걱정되네요
만약 ip리스트가 잘정리 안되있거나 없으면 콘솔로 들어가야하는데 저 장비들 다만져본 고수님 계실까요?
또 그게 안되면 해당 장비에 ip받아 접속해서 텔넷으로 각 장비들IP 확인하고 들어가려면 검색 툴이라도
있어야 할것같은데 기존 ip 스캔이라는 프로그램쓰니 못찾네요? 사용법이 잘못된건지 192만 뜹니다.
10대역이 보여야하는데 혹시 다른 추천할만한 프로그램 있으신가요??
감사합니다.
8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스캔 프로그램으로 스캔 안되는 경우도 많이 있더라구요....
장비별로 접속 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보니 새로운 장비는 구글링을 하면서
해 보는 방법밖에 없더라구요....
그런데, 거의 그런 경우 없지만 가끔은 default password 를 바꿔 놓는 엔지니어도 있어서
그런 장비는 password 모르면 접속 자체를....ㅜ,.ㅜ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해당 모델들이 매니지먼트를 지원하는 모델인지부터 검토가 필요 할 거 같습니다.
논매니지먼트 모델이면 아예 열외고, 매니지먼트 스위치라면 콘솔케이블 또는 usb to rs232 / rj45 등이 필요하구요. 장비마다 연결속도가 다를수있습니다. 해당 모델로 구글링 해보면 자세히 나올거에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포트별 접속속도 확인이면 대부분 L3인가요?
최근 모델들은 L2도 포트마다 VLAN 등 설정할 수 있지만 이전모델들은 대부분 1개 포트가 1g면 다 1g 지원이라서요.
아니면, 연결되어 있는 포트가 1g 통신을 확인하고 싶으신건가요??
스위치 모델마다 다른데 LED로 색깔별로 100M / 1G 구분하는 스위치들도 있습니다.
아루바 같은 경우는 웹UI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모델이면 인터페이스 로그인 하셔셔 확인도 가능하구요!
ip를 할당하고 있는 상단 장비에서 찾는 게 빠르긴 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콘솔 장비들이 각 장비마다 상이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유지보수업체를 통해 콘솔 정도는 지원받는게 가장 좋습니다. 그정도는 지원해줍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노트북 연결시 RJ-45 to DB-9 또는 USB to RJ-45 콘솔 케이블.
USB 연결 시 USB-to-Serial 어댑터 및 해당 드라이버 필요 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IP 스캐너 등을 이용해서 스위치 장비의 IP를 찾으려 한다면...
기본 조건 중에 하나가 스위치에 설정된 IP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IP 대역이라야 가능하다는 점을 우선 생각해야 하겠고요.
그리고, 스위치 자체에 IP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고, telnet, ssh, http, https 등의 접속 자체가 허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IP 설정이 근본적으로 안되는 제품도 있을 수 있고요.
콘솔 접속 방법은 장비 업체별, 모델별 모두 차이가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콘솔 케이블도, 비슷해 보여도 케이블의 핀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요.
콘솔 접속해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명령 등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아카텔, 아루바, HP, 시스코, 링크 시스 등의 다양한 스위치 장비를 세팅해 보았고, 사용해 오고 있는데...
각 장비들 마다 조금씩 다른 특성들이 있고, 방식, 명령등에 차이가 있지만, 근본 개념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관련 매뉴얼을 찾아 참고하고, 내부 도움말을 참고해서 설정한다면 큰 어려움은 없을 거라 생각되네요.
스위치의 IP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라면 telnet 및 ssh, http, https 등으로 차례로 접속 시도를 해 보고, 장비의 기본 ID, 암호를 이용해서 로긴 시도해 보고 안된다면 장비 초기화 방법으로 장비를 초기화 시켜서 접속하는 걸 시도해 보아야 할 것 같고요.
IP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경우라면 콘솔 케이블을 연결해서 Seria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해서 설정하는 것이 확실한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ip 스캐너에 윗줄에 검색할 대역 설정할 수 있지않나요?
여기를 맞추시면 될듯합니다만
제가 쓰는거랑은 다른거네요 한번 써보겠습니다.
앵그리? 그 프로그램인데 지정해두니 검색 결과가 안나오더라구요..
한번써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