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상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 감사드립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저희 회사 방화벽이 192.168.0.x/192.168.1.x 대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인터넷 연결 환경이 두 가지입니다.
1. 유선랜을 IP 전화기에 연결하고, IP전화기에서 PC로 연결하는 방식
2. 와이파이 연결
이전에는 IPTIME 공유기들이 Easy Mesh 설정으로 하나의 SSID로 통합되어 있었는데, 최근에 공유기 문제로 인해 SSID가 작동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모든 공유기를 초기화하고 각 층마다 별개의 SSID로 AP모드로 설정했습니다. (임시방편이며 제대로 된 설정은 새로운 기기를 구매해서 할 예정입니다.)
원래 공유기의 IP 대역은 192.168.100.x였지만, AP 모드 설정으로 192.168.1.x로 변경했습니다. 내부 IP 주소는 각 층마다 다르게 설정해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데스크탑(192.168.0.x 대역의 고정 IP)에서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해져 DHCP로 변경했음에도 문제가 계속되었습니다. 이상하게도 해당 PC와 연결된 IP 전화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했습니다. 결국 인터넷선과 전화기 선이 연결된 허브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고, IP를 다시 고정하니 인터넷 연결이 복구되었습니다.
아래 현재 설정된 공유기 설정 이미지 입니다.
혹시 네트워크 내에 루핑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어 이 글을 올립니다.
혹시 자료가 더 필요하다면 알려주시고, 내부 IP 주소는 각 층마다 다르게 했는데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7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전화기는 되는데.. PC의 인터넷은 안된다...
전화기에 고정IP를 세팅하진 않으니 DHCP로 할당을 해뒀을것이고, 그럼 무슨 IP를 할당받았던 간에 인터넷이 되니 전화기가 되는것이고요.
근데 PC도 DHCP로 세팅해둬서 자동으로 IP를 받아가는데 안된다?
그럼 PC가 인터넷이 안될때의 DHCP로 할당 받은 IP가 뭔지 알아야 되고. 안될당시에 그 IP 대역이 정상적으로 GW까지 핑이 가는지 확인하고,
다시 껐다켰을때 될때의 IP가 뭔지 보고 그 IP가 정상적으로 DHCP 세팅해둔 대역으로 받아오는지? 아님 다른대역의 IP를 받아오는지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DHCP세팅해둔 걸로 잘 받아오는데 안된다고 한다면. 안될 당시에 IP를 확인하고 혹시 전수검사를 해서 해당 IP가 또 할당되어 사용되어 있는곳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일단 IP충돌이 의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이런 상황의 대부분은 IP 충돌때문에 많이 발생하더라구요...
잘 되다가도 충돌이 일어나면 같은 IP 의 한쪽 혹은 두대 모두 통신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다가 연결되어 있는 껏다가 켜면 한동안은 잘 될 수 있구요....
그럼 공유기 IP대역을 192.168.100.x대로 다시 바꾸는 게 맞을까요?
-> 내부 IP 주소 192.168.100.104, 내부 게이트웨이 192.168.100.1
현재 전화기에서 유선랜이 192.168.1.x대로 잡힙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PC는 안되고, 전화기는 된다...?
PC에 ip 주소를 192.168.0.X로 고정 할당한 걸로 보여지고요.
전화기에 할당된 IP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방화벽에 192.168.0.X와 192.168.1.X 대역이 모두 설정되어 있다고 되어 있는데...
방화벽(게이트웨이)에 할당된 192.168.0.X의 IP가 어떻게 되는지, PC에 할당된 게이트웨이 주소가 어떻게 되는지를 확인해 보아야 하겠고요.
AP 모드이냐 공유기 모드이냐의 차이점은...
AP 모드일 경우에 공유기가 스위치 처럼 작동하게 됩니다.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들과 공유기의 WAN 포트웨 연결된 기기들이 동일한 스위치에 연결된 것과 동일하게 공유기의 모든 연결을 물리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로 통합 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겠고요.
공유기 모드로 작동시킬 경우에는 공유기의 하단 ( 무선 및 LAN 포트 )와 WAN 포트를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공유기를 라우터 처럼 작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겠고요.
물리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할당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냐에 따라 인터넷이 될수도 있고,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주소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도 중요하고요.
인터넷 문제를 점검해 보려면 ping test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 Test와 tracert 명령을 통해 어떤 경로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는 지와 어떤 경로에서 더 이상 나가지 못하는지를 점검해 보는 것으로 원인을 찾아 볼 수 있겠고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허브 문제]
8포트 허브 등에서 원선을 2개를 동시에 연결하거나
랜선을 허브에 다시 연결할경우 루핑이 발생됩니다.
이 부분은 직접적으로 문제가 되는 허브를 찾아야 합니다
[ip 충돌 ]
고급 -> 네트워크 -> 내부네트워크 설정에서 현재 내부 네트워크 리스트 확인해서 어떤 IP들이 할당
되었는지 체크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루핑이 발생하면 해당 네트워크 대역대가 다 느려지고 다운됩니다. 그 문제는 아닌거 같고
전체 다 그러는게 아니라 특정 PC 만 그런다면 IP 충돌 또는 전화기 제외 랜선 직접 연결 확인 해보면 좋을거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ip충돌 아닐까요?
dhcp에서 할당받은 아이피를 누군가가 강제로 고정하여 사용
문제가 발생할 당시의 ip를 확인하시고,
ping 테스트 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