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사옥 네트워크 구축 어떤 방식으로 할까요?

안녕하십니까?

7층 신축사옥 건설중 인데요. 4개월 쯤후 입주 예정입니다.


입주후 3개층(5~7층)을 사용할 예정인데 입주 인원은 대략 150명 내외로 랜포트 150개 정도와

예비로 100개정도 구축하고 싶습니다.

1개 층에 필요한 렌포트가 대략 40~50개 정도로 추정되며, 

각 층에 와이파이도 필요합니다

내부망, 외부망, 보안망으로 구분하고자 합니다.


다이렉트로 구축했을 시와 층 별로 나눠서 구축했을시 어떤 방법이 초기 비용대비

효과적인지? 또 장 단점은 무엇이 있는지요? 향후 네트워크 관련 AS가 적게 발생하는지요? 

아니면 다른 효율적인 방법이 있는지요?


현재 구축 공장에 사용하고 있는 랜선은 복잡 지저분 하며 

각 사무실에 연결된 랜선도 중간 중간에 허브를 사용해서인지 

가끔씩 다운이 자주되어  불편이 많습니다. 

전문 지식이 없어 허접한 질문이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제가 어느 정도는 알고 있어야 네트워크 공사업체와 협의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태그가 없습니다.

19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5달 전

말씀하신 정도의 네트워크 공사 규모라고 하면,

우선 전문업체에 컨설팅을 받아 보시는 것을 추천 합니다.

한 군데만 진행하지 마시고요.

세군데 정도 업체 통해 컨설팅 받아 보시면서,

필요한 것들을 정리하시는게 가장 좋겠습니다.

견적서도 같이 받아 보시고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 코레이즈 | 02-1833-5805

안녕하세요 코레이즈입니다.

사옥단위의 네트워크 구축을 가장 많이 해보았습니다.

7개층이라면 각층 TPS 실이나 중간 HOP을 두고 구성하시는게 확장성이나 관리성면에서 편리합니다.

또한 신사옥이기 때문에 CAT6 케이블을 기본으로 업링크를 Fiber OM3로 구성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비용측면에서도 다이렉트 포설보다는 HOP을 두고 설계하시는게 좋습니다.

네트워크는 VLAN 별로 원하시는 형태의 내부/외부/보안망으로 구성하시고,

향후 미래 보안을 위해 ZTNA가 지원되는 스위치와 AP로 구성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네트웍 전문업체에 의뢰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솔루셔상담실을 통해도 좋으시고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백본에서 광으로 각 층에 L2 or L3 스위치 (보통 L2) 를 설치 하셔서 사용하는게 일반적입니다.

다이렉트로 LAN 을 구성할 경우에는 차후 장애 지점 찾는 것도 어렵고,

LAN Cable 이 길어짐에 따른 문제점도 있을 것 같아요.

각 층에 Switch 설치 할 때 Switch 의 포트 수량에 따른 수량을 맞춰서 몇대의 Switch 를 

설치하실지 정하시면 될 듯 합니다.

이정도 규모며는 기존에 유지보수 하고 있는 네트워크 업체나 

신규 네트워크 업체 제안 받아서 구성하시면 될 듯 합니다. 

혼자서 할려고 하지 마세요~~~ 괜히 나중에 문제 생기면 독박 씁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5달 전

Simon.Park님 의견처럼 대부분 조언주신 분이 층별 나누는 방식을 추천하시고 계시네요

제가 기초 상식이 없는 상태에서 다이렉트 LAN 구성에 대한 장점을 처음 부터 들어선지

이제 생각이 조금씩 바뀌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해서 추후 장애 발생적고 장애 발생시 처리가 쉬운 방법이 층병 분리를 

말씀하시는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고민하자면 한도 끝도 없어서.. 구축에 대한 구성도를 먼저 예상하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네트워크 컨설팅을 받으실 게 아니라 일반 구축 업체를 선정하실거라면 미리 구성도 짜서

진행하시는 게 좋습니다.


내부망, 외부망, 보안망으로 구분한다고 하셨는데 각 층마다 해당 망 3개 모두 구성 하실 건지

또한 와이파이는 내부망 기준으로 같은 네트워크로 구성할 건지 와이파이도 별도로 구분할 건지 등

물리적인 구성 전에 어떻게 구성할 지 수립되어야 전체 네트워크 구성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 


기본적으로 사옥 내 일부 층 쓴다고 하면,

메인 서버실에서 각 층 사용자 자리로 직접 라인 뽑는 경우도 있고,

권장드리는 건 메인 서버실 - 각 층 tps실(공간이 모호하다면 각 층 메인 스위치 비치할 위치 선정)

기본 구성하시고 각 층 tps실에서 사용자 자리로 포트 연결하시는 게 나중을 위해서도 좋습니다.

와이파이 장비 위치도 케이블 포설 해주셔야 하구요!


Reply

게시글 작성자 | 5달 전

1,메인서버실에서  각 층 사용자 자리로 직접 라인을 뽑는게 추후 장애 발생이 

거의 없다는 점과 또 추후 AS를 위해서 편하다는 얘기를 들어서요.

inside07님을 비롯하여 의견 남겨 주신분 대부분은 

2,메인서버실< 각층 TPS실<사용자 자리 연결을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저는 단순하게 추후 장애 발생이 적고 장애 발생시  AS가 쉬운 방법을 택하고 싶거든요


Reply

| 5달 전

장애가 더 많이 발생하고 적게 발생하고의 차이는 저 구성에서 크진 않습니다.

그리고 장애 발생 시 대응은 메인서버실< 각층 TPS실<사용자 자리 연결 형태가 관리자 

측면에서는 더 쉽습니다.(이 부분은 개인적인 의견이라 감안해주셔요 ^^;;)

메인서버실에서 각층 tps실에 대한 네트워크 이슈보다 사용자단에서의 발생하는 변경이나 장애가 경험 상은 더 많았어서 TPS실을 추천 드리는 부분 입니다.!

비용 등 고려하셔야겠지만 가능하면 층별로 구분해두는 게 좋긴 합니다.

처음 구축하고 서버실 <-> 사용자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이 없고 비용 차이를 고려하신다면

다이렉트로 연결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다이렉트 연결하는 경우 케이블 레일 통해 포설하는 것과 꼭 포트 테스트는 하시는 걸 추천 드려요 간혹 공사 끝나고 포트 불량인 경우도 있습니다.

초기 구성 및 구축만큼 완료 시점 최종 확인도 중요하니 참고하시면 될 듯 해요 !!


Reply

게시글 작성자 | 5달 전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새 신축사옥에 한번 구축하면 한동안 계속 사용해야 하는데요. ㅎㅎ

네트워크 업체 몇 곳 선택해서 제안을 받아보세요.

요구사항 설명 드리고 제안 받아서 회사에 맞게 커스텀 하시는게 더 도움될것 같아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어디에 몇명이 앉고, 몇 회선씩 사용하는지

장비는 어디에 두고, 몇 회선이 필요한지

같은 네트워크로 묶을 범위는 어디어딘지

정도를 네트워크 업체에 전달하시면

잘 뽑아줍니다.

전문가에 맡기세요.

그리고 옆에서 궁금한거 물어보고 하세요

아래 솔루션 상담실을 이용해보서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각 층별로 아웃렛을 설치 해서 번호를 부여 해놓고 혹시나 장애가 나면 해당 번호로 찾을 수 있습니다.

층별로 스위치 놓고 상위 들어오는 ISP는 한회선으로 두고 방화벽에서 ZONE을 나뉘어 업무용/인터넷망을 분리 하면 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백본스위치-층간스위치-PC위치 

이렇게 연결하시구요.

백본스위치는 VLAN구성 가능한 장비로. 망분리 추천드립니다.

물리적인 망분리는 복잡하고 비용증가로 꼭 필요한 경우 아니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종합적인 제안이나 컨설팅 필요하시면 솔루션 상담실 추천드립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5달 전

솔루션 상담실 방법이 있군요?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큰 규모이면, 메인 백본은 서버실에 두시고, 층간 개별 스위치를 두시고 층간은 광케이블로 연결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그 층간스위치는 전부 메인 백본으로 연결해두시고요.

그리고 망분리를 할거면 각 망을 별도로 백본을 두시어 완전 망분리를 하는게 좋긴합니다. 가격이 많이 들어서 그렇지...

글구 솔루션상담실에 문의하시면 정확히 어떻게 구성할지 컨설팅도 받아보실수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5달 전

각 층별로 네트워크 장비들을 설치해 둘 장비실을 두어야 할 것 같네요.

7층 규모인데, 한곳에서 층별 모든 방까지 케이블을 직접 가설되게 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멀어서 통신 장애가 있을걸로 보여 지고요.

UTP 케이블로 스위치와 연결되는 기기 사이의 거리를 100M가 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을 거라 생각되고요.

UTP가 200M 정도까지 연결은 된다지만... 200M 가까워질 경우에 성능 저하와 장애 증상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스위치와 단말기 사이의 거리는 가급적 짧은 거리가 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성을 하는게 좋죠.


내부망, 외부망, 보안망 이란 개념이...

정확하게 어떤 개념으로 검토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고객용망, 업무망 개념으로 분리한 개념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계획이라면, 네트워크 케이블을 포함한 네트워크 장비들도 서로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구성하는걸 권장하고요.


층별 40~50개 정도의 포트를 사용할 계획이라면...

층별 24포트 스위치를 2~4대 정도를 두고서 운영해야 할 걸로 보이고요.

신축 사옥의 메인 네트워크 실에서 각층의 네트워크실까지는 광케이블을 이용해서 연결하는 것이 좋겠고, 메인 장비실에 백본용으로 성능 좋은 스위치를 두고서, 백본 스위치에서 각층 스위치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게 좋겠죠.

Reply

게시글 작성자 | 5달 전

내부망,외부망,보안망...

이건 사내용 서버에만 연결되고 인터넷 사용안함---이걸 내부망으로 표현했구요

사내 서버와 인터넷도 함께 사용---이걸 외부망으로 표현

캡스라든지 CCTV----이걸 보안망으로 표현했습니다.


많이 막연했는데 무슨 말인지는 알거 같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각 층별 필요한 수량(10%는 여유분 가지고) + 여유분(복합기, 기타 네트워크 연결 장비 감안)으로 계산하세요.

액세스 플로워가 모두 안된 일반 사무실이라면 랜케이블 노출 될 수 밖에 없어서 ㅠㅠ


가능한 벽면, 기둥 등에 아웃렛 설치하고 단말까지 연결할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꼭 유선이 아녀도 된다면 무선이 대안입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5달 전

메인서버실 -> 층별 스위치 -> 패치판넬 -> 사용자 자리 보통 이런식으로 설계합니다.

수축튜브를 이용한 라벨링만 잘 해주면 크게 문제될일은 없는데,

사내 내부망 외부망 보안망이 어떤용도인지를 알려주시면 그거에 따라 네트워크 구성이 바뀔순 있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약 2시간 전
  • 댓글 : 약 한 시간 전
  • 2일 전
  • 댓글 : 하루 전
  • 8일 전
  • 댓글 : 7일 전
  • 16일 전
  • 댓글 : 10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