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약 43명 정도의 직원이 있는 기업의 IT팀 직원입니다.

최근에 IT 자산관리(H/W, S/W)를 진행하다가 수기로 PC 하나마다 정보를 취합해서 엑셀로 정리하곤 했습니다.

이제 직원이 2~3배로 늘어날 예정인데, 더 이상은 수기로 관리가 안될 것 같아 IT자산관리가 좋은 국내 솔루션을 추천받고싶습니다.

  • 1.H/W의 사양, 정보, S/N, 구매일자 등 상세하게 관리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2.S/W는 영구 구매 및 구독중인 S/W를 등록해놓고 실제로 몇명이 사용중인지 관리하려는 목적입니다.

  • 3.라벨링 기능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W,S/W 통합관리가 가능한 오피스키퍼

Sponsored https://bit.ly/sharedit_asset

H/W 지급이력 및 현황 관리, S/W 라이선스 수량 관리, 노트북 반출현황 관리, 컴퓨터 절전 중앙관리까지 다양한 자산 관리기능을 오피스키퍼 하나로 해결

자세히 보기

16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23일 전

솔루션 상담실에 견적 문의해보셔도 좋구요 몇가지 솔루션 추천드립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4일 전 | 노버스메이 | 010-9023-1295

안녕하세요,
기업 자산관리 플랫폼 '샘큐' 소개드립니다.
소프트웨어 자산부터 노트북 등 실물자산을
저렴한 도입금액에 한번에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엑셀로만 관리하던 기업 자산,
아주 쉽게 플랫폼 내에서 관리가 가능합니다.
쪽지 회신 주시면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설명 드리겠습니다.
https://pro.samq.co.kr/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관련해서 많은 질의와 답변이 묻고 답하기에 있으니 차분하게 검색해보세요.

도움이 될 답변이 있을 것 같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 추천 | 10달 전

넷헬퍼 넷클라이언트 다써봤고 넷헬퍼가 좀더 쉽습니다.

라벨링은 엡손라벨기 24mm 되는거 사서 라벨기 자산관리 샘플에서 관리번호(자산관리코드기재) 부서, 대상명칭, 담당자 

이렇게 4줄넣고 위에 회사명넣고 오른족에 2d바코드로 출력해서 붙였어요

단점은 해당 자산관리DB를 엑셀로 다운해서 엑셀데이터로 출력해서 관리했어요 

한장씩 해야할때는 그냥 관리프로그램등록하고 거기에 나온 관리번호를 바코드기기에 직접 처넣었슴.

핸드폰으로 바코드 읽어보면 바코드에는 위 기재한 내용외에 오피스 키 오에스키까지 기재해서 넣었어요 재설치할때 필요해서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 IT 관리 smply.one | 01047945857

심플리서비스도 한번 확인해보세요 :)

https://www.smply.one/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카스퍼스키나 다른 백신 같은 경우 문의하신 필요한 자산관리까지 지원이 됩니다.

참고하세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저도 넷클라이언트 추천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넷클라이언트 사용중인데요.

괜찮습니다. 43명정도의 소규모 회사이시라면, SAMQ 솔루션 괜찮은것 같습니다.

솔루션 상담실에 문의해보세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넷헬퍼나 넷클라이언트는 라벨링 기능 없지않나요? 
저는 구버전이라서 그런지 라벨링은 안되는데 (나머지 기능은 모두 가능) 

Reply

| 10달 전

저도 라벨링 기능은 없는걸로 아는데...

요즘 제공되는 버전은 지원이 되는가보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넷클라이언트 추천합니다

원하시는 기능 다 지원해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저희는 자산관리 솔루션도입해사 사용을 하고 있는데 편리하고 좋더군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솔루션 도입은 원하는 기능과 실제 솔루션 영업 담당을 통해 결정하는게 좋습니다.

글쓰신분이 관리자시니 일단 솔루션 상담실에 글 남기시면 각 영업담당자분이 제안서 같은걸 주시면 그걸로 미팅을 잡고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

어디가 좋다 어디가 좋다.. 이런건 그냥 참고사항이지 실제 적용할 회사에서는 쉐어드IT의 좋은 점이 솔루션상담실이 있다는 것이니 거기에 글 남기시고 좋은 솔루션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10달 전

국산을 원한다면...

 SAMQSweeper 같은 툴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 같아 보이네요.


IT 자산 관리로 오픈 소스의 Snipe-IT, GLPi 를 검토해 볼 수도 있을 것 같고요.

상용의 SpiceworksiMon SOFT넷클라이언트넷헬퍼 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그외 InvGate AssetsParmavex ServicesAppBeatLansweeper, Network Inventory AdvisorNetX Network Tools 등등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 같고...


이전에 올라온 유사한 질문들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 같고요.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6923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6666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6171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5887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5196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4862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4760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4683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4547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4185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3959



입맛에 딱 맞는 툴을 원한다면 SI 업체를 통하거나 아니면 직접 개발하는 것을 추진해야 할 것 같고요,.

엑셀을 이용한 관리도 매크로, 수식 등을 잘 활용해서 사용한다면 상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솔루션 상담실에 요청하셔서 여러곳의 제품 제안 받아 보세요...

원하시는 기능이 어느정도 포함되어있는지 체크해 보시고,

필요하시면 데모도 한번 해 달라고 하시면 해 줄 듯 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달 전

솔루션상담실을 통해 접근해 보시길 바랍니다.

회사의 규모, 예산, 업무 처리 등에 따라 맞는 솔루션을 찾으셔야 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IT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하루 전
  • 댓글 : 약 14시간 전
  • 5일 전
  • 댓글 : 약 22시간 전
  • 10일 전
  • 댓글 : 8일 전
  • 13일 전
  • 댓글 : 6일 전
  • 18일 전
  • 댓글 : 14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