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플램폼 회사에 재직하고 있습니다.
AWS에 있는 리눅스 서버들의 백신을 검토중에 있는데
인터넷을 찾아봐도 리눅스 서버관련해서 기사라던가 사고들이 거의 없는것 같더라구요.
막상 견적서를 받아보니 가격들도 천차 만별이고..
윈도우즈 서버면 모를까 리눅스 서버에 백신이 필요할까요?
물론 직원들 단말기에는 백신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들 리눅스 서버에 백신 어떻게 하고계신가요?
안녕하세요~
현재 플램폼 회사에 재직하고 있습니다.
AWS에 있는 리눅스 서버들의 백신을 검토중에 있는데
인터넷을 찾아봐도 리눅스 서버관련해서 기사라던가 사고들이 거의 없는것 같더라구요.
막상 견적서를 받아보니 가격들도 천차 만별이고..
윈도우즈 서버면 모를까 리눅스 서버에 백신이 필요할까요?
물론 직원들 단말기에는 백신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들 리눅스 서버에 백신 어떻게 하고계신가요?
Sponsored https://parasole.co.kr/
선천면역 매커니즘 기반 사용자 Non-Self, Non-human 악성 행위 식별 위협 차단 솔루션- 파라솔
자세히 보기윈도우 대비 위험이 덜하긴 하지만 없는건 아니죠.
서버 중요성으로 판단해야 할 듯 합니다
중요데이터있고 무중단 서비스가 필요하면 백신 설치를
아니라면 미설치 운영도 고려해 볼 듯 합니다
서버 성격이나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제가 본 경우 같은 경우,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였는데 해당 서비스는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고객사에서 해당 웹 서비스의 계정을 탈취 당해서 파일 업로드 기능을 이용해서 서버에 웹쉘 및 루트킷을 업로드해서 정보를 탈취해 간 사례가 있었어요
Linux 서버에 대한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은 Windows 서버에 비해 덜 명확하지만 이는 궁극적으로 특정 사용 사례, 위협 환경, 규정 준수 요구 사항 및 보안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 중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규정 준수 요구 사항이 있거나 Windows 시스템과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Linux 서버에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 것이 신중한 단계가 될 수 있습니다.
포괄적인 보안을 위해 정기적인 패치 적용, 구성 관리, 모니터링, 침입 탐지 등의 다른 보안 조치와 바이러스 백신을 결합하여 AWS의 Linux 서버가 잘 보호되도록 구성하는것을 권장합니다.
네트워크 망 관리만 잘해야 합니다.
VPC 와 site-site간 연결 등 네트워크 침입차단 정책적으로도 운영을 잘해야 하죠
그리고 감사를 받는 회사는 필수로 리눅스 백신 설치가 필요합니다.
-트랜드마이크로 백신이 있습니다.
예전에 리눅스에 백신을 구매하여 설치해습니다
그냥 심리적 안정감과 혹시 모를 사고시에
예방을 미리했음을 증빙하려는 목적으로 설치했습니냐
Pc에 사용하시는 백신 라이센스에 추가해서 비용도 얼마 안했던 기억이 있네이
필요성 보다도 심리적 보험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말하자면 ...사고가 났을때 IT도 모르는 분들께 백신도 설치않했어?? 라는 말을 들고있을 자신이 없습니다
아직까지 isms 에서 리눅스 백신은 권고로만 되어 있지 의무 설치는 아닙니다.
요즘 많은 회사에서 리눅스 백신이 나오긴 하고 있는데, 서버들의 성능이슈때문에 꺼리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윈도우처럼 적은 리소스를 가지고 되지 않아... 이게 해결될때쯤이면 법도 바뀔것으로 보입니다.
보안은 자체적으로 해결 하셔야 합니다.
서버가 사무실에 있는게 아니라 임대 장소에 있는 구조 입니다.
기본적인 하드웨어 결함은 클라우드사가 해결하지만 내부 사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몫입니다.
AWS에서 개별 가상 컴퓨터의 보안까지 챙겨 주지는 않을 것 같은데요.
더구나 클라우드에 올라가 있는 서버인데...
자체적으로 백신을 설치해서 위험을 최대한 줄이는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게시글 작성자가 남긴 피드백입니다.
답변주심 분들 감사드립니다. 현재 사용중인 백신과 관련하여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