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내에 오픈소스 백업솔루션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백업하려고 합니다.
Urbackup을 설치해서 활용해보았는데, Client를 설치하는 방식이라 조금 한계가 있는 것 같더라구요.
주요 백업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토리지 파일서버 , NAS (Synology)
■VMware
Vmware 는 Client를 어떻게든 설치해서 해보겠는데 스토리지 파일서버쪽은 설치가 어렵네요..
혹시 다른 좋은 방법이 있거나 대안으로 쓸만한 오픈소스 솔루션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10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몇 가지 오픈 소스 백업 솔루션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1. 바큘라
특징: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에 대한 포괄적인 백업 솔루션입니다.
파일 서버, NAS, VMware 등 가상 환경의 백업을 지원합니다.
다양한 관리 도구와 웹 기반 인터페이스(Bacula-Web)를 제공합니다.
사용하는 방법:
파일 서버 및 NAS: Bacula는 서버에 적절한 파일 데몬(클라이언트)을 구성하고 디렉터에서 백업 작업을 설정하여 파일 서버와 NAS를 백업할 수 있습니다.
VMware: Bacula는 vSphere API를 통해 VMware와 통합할 수 있으므로 각 VM에 에이전트를 설치할 필요 없이 가상 머신을 백업할 수 있습니다.
2. Bareos(백업 아카이빙 복구 오픈 소스)
특징:
추가 기능과 지속적인 개발이 포함된 Fork of Bacula.
파일서버, NAS, VMware 환경의 백업을 지원합니다.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 및 유연한 구성 옵션.
사용하는 방법:
Bacula와 마찬가지로 서버와 NAS에 File Daemon을 설정하고 Director를 구성하여 백업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에이전트 없는 백업을 위해 vSphere API를 사용하여 VMware와 통합합니다.
** 파일 서버 및 NAS 백업의 경우:
Restic 또는 Duplicati는 단순성과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탁월한 선택입니다.
더 많은 고급 기능과 중앙 집중식 관리가 필요한 경우 Bacula 또는 Bareos.
** VMware 백업의 경우:
Veeam Backup & Replication Community Edition은 쉽게 통합할 수 있는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Bacula 또는 Bareos는 오픈 소스 솔루션을 선호하는 경우 보다 포괄적이고 통합된 백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스토리지는 마운트
가능하고 이력 관리 필요없으면 rsync, 시놀리지 나스는 하이퍼백업이나 이것도 rsync 백업. 보다ㅜ전문적 관리가 필요하다면 백업 솔루션 도입하시는 걸 추천드
립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오픈소스 백업 솔루션 찾으신다면 아래 URL 참고해보세요.
https://www.oss.kr/info_install/show/9653c6b5-b48e-4717-987d-45f1a60d8661
다만, 백업 후 복구 까지 진행하길 원하시면, 상용 소프트웨어 사용을 권장 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오픈소스 백업 솔루션의 단점은 문제 발생시 직접 처리해야 합니다.
VMware는 vm에 대한 snapshot으로 백업받으면 되겠지만
NAS 데이터 백업은 중요도에 따라 다를수 있겠죠
상용이지만 큰 비용없이 할수 있는 , Arcserve , Arconic 백업 솔루션으로 고려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상용솔루션을 추천 드립니다. 백업본 복구가 안될 경우 난감 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비용을 아끼시려면 백업솔루션 도입보다는 단순히 NAS를 이용해서 중요한 데이터 백업을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오픈소스로는 복구 시간이나 100% 완전한 백업을 기대하긴 힘듭니다. 그리고 만약 문제가 발생했을 시.. 제대로 복구가 되리란 보장도 없습니다.
오픈소스는 그냥 말그대로 그 소스를 가지고 자유롭게 이용하고 쓰되 문제가 발생했을 시에는 책임을 지지않는다라는 것이기 때문에... 글쓴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스토리지 영역의 백업은 해당 스토리지에 접근할 수 있는 컴퓨터( 서버 )에 백업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백업을 받아야 하겠죠.
아니면 백업 받으려는 영역에 대한 접근 권한의 부여로 공유 접근 권한을 얻어서 백업을 받아야 하겠고요.
영문이긴하지만 아래 링크에 있는 UrBackup 매뉴얼을 참고한다면 사용에 도움이 많이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https://www.urbackup.org/administration_manual.html#x1-280006.1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NAS는 하이퍼 백업으로 백업을 할수 있습니다. 비용이 들어가지만 오픈소스로는 제약이 많이 있을듯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오픈 소스 백업 솔루션 여러가지 있는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백업솔루션은 대부분이 client 설치해서 운영합니다.
저도 simon님과 같은 생각인데요.
중요 데이터이시면 오픈소스보다는 상용 솔루션 추천드립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오픈소스 백업솔루션은 설치 및 운영하시는데까지는 크게 문제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백업의 중요성은 문제가 발생 했을 때 복원이 제대로 되느냐의 문제인거 같네요.
오픈소스인 만큼 복원에 대한 책임은 설치 당사자가 될 것 같은데,
복원에 대해 보증을 누가 할거냐의 문제가 있을 것 같네요.
그래서 대부분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솔루션 도입 및 사용하는거 같습니다.
데이터 중요성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단순히 비용 아낄려다가 나중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