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스위치 하단에 물려있는 몇몇 서버들이 arp 테이블에서 안보입니다.
이 떄 해당 서버와 통신이 이루어지면 다시 arp 테이블에 등록이 됨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스위치에 연결된 장비들에 대한 arp 정보를 arp table에 전부 등록시키는 방법이 있을까요?
간혹 스위치 하단에 물려있는 몇몇 서버들이 arp 테이블에서 안보입니다.
이 떄 해당 서버와 통신이 이루어지면 다시 arp 테이블에 등록이 됨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스위치에 연결된 장비들에 대한 arp 정보를 arp table에 전부 등록시키는 방법이 있을까요?
5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스위치 장비의 동작은
(1) Address Learning (2) Forward & Filter (3) Flooding
의 순서로 작동합니다.
(1) 어떤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트래픽을 전송하려고 시도할때 스위치가 해당 컴퓨터의 MAC 주소를 MAC Address Table에 등록시키면서 학습을 하게 됩니다.
(2) MAC 주소 테이블을 참조해서 찾아 가려는 주소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서 등록되어 있는 주소가 있다면 해당 포트만으로 트래픽을 포워딩 시키고, 나머지 포트들을 트래픽이 전달되지 않게 차단시키게 되고요.
(3) MAC 주소 테이블에 목적지 주소가 없다면 트래픽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하고 전체 포트에 브로드캐스팅하여 트래픽을 전달시키게 됩니다.
(3)의 경우에는 전체 네트워크에 트래픽이 전송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목적지 주소의 컴퓨터는 자신을 찾는 트래픽을 확인하고 응답 트래픽을 스위치로 보내게 되겠고요.
그 순간에 스위치는 응답해 오는 트래픽을 확인해서 맥 주소 테이블에 등록 주소를 등록하게 되겠고요.
MAC 주소 테이블은 기본적으로 300초의 aging time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특별한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등록된 후에 5분지나면 지워지게 되고요.
네트워크의 전체 맥주소를 스위치 주소 테이블에 등록시킨다는 것은 불필요한 트래픽만 유발시키는 작업이라 보여 지고요.
찾으려는 맥주소가 주소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IP 주소로 ping만 한번 보내 줘도 맥 주소가 테이블에 등록시킬 수 있게 되겠고요.
스위치에서 mac address table 확인 시 MAC주소는 확인이 되는데 ARP table에는 해당 MAC에 대한 IP정보가 없어서 어떤 서버인지를 못찾겠습니다.
이럴경우는 어떻게해야하나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스위치마다 다르겠지만 기본 설정값으로 arp 테이블 정보는 5분 가지고 있습니다.
5분뒤에는 clear 시키고 다시 갱신을 됩니다.
설정값을 늘리면 더 오래가지고 있을 순 있지만 스위치 부하를 줄 수 있어 잘 사용 안합니다.
스위치에 간단한 스크립트를 만들어 주기적으로 broadcast ping를 수행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보통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스위치 접속하고 제일 먼저 boardcast ping하고 arp 테이블
많이 봅니다
시스코스위치에서 broadcast ping 명령은 어떻게 실행하나요?
ping x.x.x.255 하면 되는걸까요?
네 맞습니다.
ping x.x.x.255 (서버대역)
하시면 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