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gkyung.lee 쪽지 보내기 sangkyung.lee 5년 이하 전 0 추천 즐겨 찾기 7개의 답변 조회수 288 개발을 위해, SI 업체 선정은 어떠한 루트을 통해서 하시나요?전 위시켓, 프리모아, 크동 등등에 의뢰를 하는데,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7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신규 프로젝트인가요?
SI 영업도 인터넷 뒤져보면 굉장히 많더군요
웹부터 설비, 스마트 팩토리 등등
대게 유지보수 업체를 통해 인맥으로 이어지는게 통상 관례이긴 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큰 프젝일 경우가 아니라면 메인 유지보수 업체를 통해 소개 받아서 하고 있어요
검증하기가 쉽지 않고 유지보수 업체를 통해 하다보니 더 신뢰가 가더라구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위시켓에서 시세? 좀 참고했고 실제 계약은 추천받은 업체 레퍼런스 체크후 계약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저희는 여러업체들 견적을 받고 미팅을 통해서 Q&A 를 진행을 해서 선정을 하고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저희는 업종에 따른 특성화된 SI 업체가 별로 없어서 선택지가 별로 없었네요..
큰 사이즈가 아니면 그냥 다른 업체를 통해서 소개받거나 하죠...
SI라는게 특정업체를 컨택하고 미팅하고 범위조정하고...
그러고 공고를 하면 보통 그 업체가 오죠.. ㅋㅋㅋ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저희도 여러 업체에서 제안서를 받고, 내부에서 임의 평가 후에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업체에서 구축한 레퍼런스 사이트를 방문 견학해서 진행하고 있어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적정한 업체들을 3~4군데 알아 본 후에,
그 업체들에 제안 요청서를 보내서 제안서를 받고...
제안서 내용을 기반으로 해서 검토해 본 후에 업체 선정해서 진행하면 되지 않을까요~?
제안서 검토 과정 중에, 해당 업체에서 구축한 실적과 구축 사이트를 직접 방문해서 실 사용자 의견도 들어 볼 필요도 있겠고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